[history(역사) 학] 광종대 현종대 창건한 절의 위치와 특징 / 광종대 현종대 창건한 절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6 21:57
본문
Download : [역사학] 광종대-현종대 창건한 절의 위치와 특징.hwp
또한 개경 주변의 동북쪽에서 남쪽으로 이어지는 산록에 지어진 불일사·귀법사·진관사·숭교사 등은 개경의 외곽을 지키는 의미도 가졌을 것으로 생각한다. 우선 광종대 창건된 봉은사는 황성의 남쪽, 불일사·귀법사는 나성의 동북쪽에 위치하였다.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광종대-현종대 창건한 절의 위치와 특징 광종-현종대에 창건된 절로는 광종...
광종대-현종대 창건한 절의 위치와 특징 광종-현종대에 창건된 절로는 광종2년(951)의 봉은사·불일사, 광종 5년의 숭선사, 광종 14년의 홍화사·유암사·귀법사, 목종 2년의 진관사·숭교사, 현종 3년의 (혜일)중광사현종 9년의 현화사 등이 있었다. ...
[history(역사) 학] 광종대 현종대 창건한 절의 위치와 특징 / 광종대 현종대 창건한 절
설명
Download : [역사학] 광종대-현종대 창건한 절의 위치와 특징.hwp( 52 )
광종대-현종대 창건한 절의 위치와 특징 광종-현종대에 창건된 절로는 광종...
역사학 광종대 현종대 창건한 절의 위치와 특징 / 광종대 현종대 창건한 절
순서
![[역사학] 광종대-현종대 창건한 절의 위치와 특징-1064_01.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911/%5B%EC%97%AD%EC%82%AC%ED%95%99%5D%20%EA%B4%91%EC%A2%85%EB%8C%80-%ED%98%84%EC%A2%85%EB%8C%80%20%EC%B0%BD%EA%B1%B4%ED%95%9C%20%EC%A0%88%EC%9D%98%20%EC%9C%84%EC%B9%98%EC%99%80%20%ED%8A%B9%EC%A7%95-1064_01.gif)




다. 이곳은 현종이 자기 아버지인 안종 욱의 능(건능)을 이장한 근처이기도 하다. 따라서 현화사는 왕실 원당으로서 정치세력·불교세력의 개편과 결집의 구심점이 되었음은 물론, 현화사는 귀산사·안화사·귀법사 등 산록에 위치한 다른 절과 마찬가지로 왕이 사냥하고 연회를 베푸는 왕실의 後苑으로도 이용되었다. 또한 이곳은 대체로 나성의 성곽이 지나가는 곳과 멀리 떨어지지 않은 곳이기도 하다. 반면 불일사와 귀법사는 궁궐의 동북쪽 즉 나성의 탄현문 밖에 지어졌으며, 목종대의 진관사와 숭교사는 용수산 기슭에 창건되었다. 즉 개경의 도시정비가 진전되면서 개경 중심부에는 국가가 지원하는 큰 절이 들어서기 어려웠기 때문에, 봉은사 정도를 제외하고는 모두 궁궐에서 어느 정도 떨어져 지을 수밖에 없었을 것이다. 태조의 원당으로 창건되어 대대로 연등회를 열었던 봉은사와 유암사는 비교적 궁궐과 가까운 위치에 지어졌지만 이 역시 황성 밖이었던 것은 분명하다. 이 시기에 창건된 절의 위치는 대체로 태조 후반기 이후의 추세와 비슷하다. 한편 현화사는 현종이 자기 부모의 명복을 빌기 위해서 창건한 절로서 나성의 동북쪽 밖 곧 귀법사 동북쪽에 창건되었다. 이 때까지는 아직 나성이 축성되기 이전인 것을 고려하면 이 절들도 태조대의 현성사 개국사와 마찬가지로 개경 방어의 거점이었을 것이다. 이곳들은 대체로 개경의 동북쪽에서 남쪽에 이르는 산록으로 당시 개경의 동북쪽과 남쪽의 경계에 해당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