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days.co.kr 최충 > thedays8 | thedays.co.kr report

최충 > thedays8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thedays8

최충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13 15:41

본문




Download : 최충.hwp




변경에서 돌아와 내사시랑평장사(內史侍郎平章事)에 올랐고, 수사도 수국사 상주국(守司徒修國史上柱國)이 더해졌다가 곧 문하시랑평장사(門下侍郎平章事)로 옮겼다.

1005년(목종 8) 문과에 장원으로 급제해 1xxx년(현종 2) 우습유(右拾遺)가 되었다.
,법학행정,레포트

최충

Download : 최충.hwp( 26 )




다. 1037년(정종 3) 참지정사수국사(參知政事修國史)로 ≪현종실록≫의 편찬에 참여했으며, 상서좌복야 참지정사 판서북로병마사(尙書左僕射參知政事判西北路兵馬使)로 영원(寧遠)·평로(平虜) 등에 진(鎭)을 설치하고 산성개수(山城改修)를 감독했다.최충97 , 최충법학행정레포트 ,
1. 최충(崔沖)의 생애
2. 고려시대의 유학사상
3. 최충의 사상 - 문헌공도(文憲公徒)
4. 사학(私學) 12도(十二徒)



1. 최충[崔沖, 984(성종 3) ~ 1068(문종 22)]의 생애

고려 전기의 문신으로 사학십이도(私學十二徒)의 하나인 문헌공도(文憲公徒)의 창시자이다. 그 뒤 우보궐(右輔闕)·기거사인(起居舍人)·중추직학사(中樞直學事)를 역임하고, 1025년에 한림학사 내사사인 지제고(翰林學士內史舍人知制誥)를 거쳐 예부시랑 간의대부(禮部侍郎諫議大夫)에 올랐다.
레포트/법학행정





설명


최충97



최충_hwp_01.gif 최충_hwp_02.gif 최충_hwp_03.gif 최충_hwp_04.gif 최충_hwp_05.gif



순서
본 자료는 최충의 생애와 사상을 조사정리한 보고서입니다. 온(溫)의 아들이다. 그 뒤 형부상서 중추사(刑部尙書中樞使)로 전임되었다.
정종 초에 지공거(知貢擧)가 되어 과거를 주관하였다.
1033년(덕종 2) 우산기상시(右散騎常侍)에 이어 동지중추원사(同知中樞院事)가 되어 ≪설원 說苑≫ 육정육사(六正六邪)의 글과 한(漢)의 자사6조(刺史六條)의 글을 각 관청에 붙이게 하여 좋은 정치를 하는 데 힘을 기울였다. 1013년(현종 4)에 거란의 침입으로 소실된 역대의 문적을 재편수하는 국사수찬관(國史修撰官)을 겸해 태조
에서 목종
까지의 《칠대실록(七代實錄)》 편찬에 참여했다.

1047년(문종 1) 문하시중
(門下侍中-고려시대 문하성(門下省)의 종1품 관직으로 나라의 모든 정치를 총괄하는 대신)으로서 법률관들에게 율령(律令)을 가르쳐 고려 형법의 기틀을 마련했으며 1050년(문종 4)에 개부의동삼사 수태부(開府儀同三司守太傅)가 더해지고 추충찬도…(생략(省略))

본 data(資料)는 최충의 생애와 사상을 조사요점한 보고서입니다. 본관은 해주(海州), 자는 호연(浩然), 호는 성재(惺齋)··월포(月圃)··방회재(放晦齋), 시호는 문헌(文憲)이다.
전체 31,044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thedays.co.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