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이파이와 와이브로의 definition 및 차이점 (wifi , wibro)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10-29 17:39
본문
Download : 와이파이와 와이브로의 정의및 차이점.hwp
처음의 와이파이는 사실상 IEEE 802.11과 동의어로 사용되었으나, 현재 와이파이는 802.11 기반의 많은 소프트웨어 기술을 포함하며, 802.11에서 지원되나 와이파이에서 쓰이지 않는 기술도 있으므로 둘을 혼동하지 않는 것이 좋다.
2.1 Wi-Fi
2.1 Wi-Fi
1. WiFi 및 WiBro에 대한 정의(定義) 및 기능
4.2 Wibro
1.1 Wi-Fi
2. WiFi 및 WiBro의 사용 범위
4.1 Wi-Fi
3.1 Wi-Fi
4. WiFi 및 WiBro의 장.단점
[목차]
1. WiFi 및 WiBro에 대한 정의 및 기능 1.1 Wi-Fi 1.2 Wibro 2. WiFi 및 WiBro의 사용 범위 2.1 Wi-Fi 2.2 Wibro 3. Wi-Fi 및 WiBro의 종류 3.1 Wi-Fi 3.2 Wibro 4. WiFi 및 WiBro의 장.단점 4.1 Wi-Fi 4.2 Wibro 5. WiFi 및 WiBro의 국내 사용 현황 5.1 Wi-Fi 5.2 Wibro 6. WiFi 및 WiBro의 향후 발전 방향





1. WiFi 및 WiBro에 대한 definition 및 기능
순서
4. WiFi 및 WiBro의 장.단점
1.1 Wi-Fi
1.2 Wibro
Download : 와이파이와 와이브로의 정의및 차이점.hwp( 25 )
2. WiFi 및 WiBro의 사용 범위
5. WiFi 및 WiBro의 국내 사용 present condition
다. 참고로, 국립국어원에서는 와이파이(Wi-Fi)의 순화말을 근거리 무선망이라고 정했다. 대한민국에서 통용되는 국제 표준 IEEE 802.16e에 대한이름이고, 북미에서는 모바일 와이맥스로도 불린다.설명
5.1 Wi-Fi
와이파이(Wi-Fi)는 와이파이 얼라이언스(Wi-Fi Alliance)의 상표명으로, IEEE 802.11 기반의 무선랜 연결과 장치 간 연결(와이파이 P2P), PAN/LAN/WAN 구성 등을 지원하는 일련의 기술을 뜻한다.
5.1 Wi-Fi
[본문일부]
1.1 Wi-Fi
와이파이와 와이브로의 정의및 차이점 (wifi , wibro)
3.1 Wi-Fi
1. WiFi 및 WiBro에 대한 정의(定義) 및 기능
2.2 Wibro
6. WiFi 및 WiBro의 향후 발전 방향
5. WiFi 및 WiBro의 국내 사용 실태
3.2 Wibro
6. WiFi 및 WiBro의 향후 발전 방향
3.2 Wibro
레포트 > 기타
2007년 10월 18일, 한국이 세계 최초로 개발한 와이브로 기술이 국제전기통신연합 전파총회에서 IMT-2000으로 통칭되는 3세대 이동통신(3G)의 6번째 국제표준으로 채택됐다. 처음엔 고속 데이터 통신 기술을 가리키는 용어로 창안된 것이지만, 통신업체에서 기술명을 서비스명으로 이용하면서 기술 이름보다 서비스 이름으로 더 잘 알려져 있따
5.2 Wibro
5.2 Wibro
한국 내 최초 사업자로 KT와 SK텔레콤이 선정되어, 2006년 6월 30일부터 대한민국 서울과 경기도의 일부지역에서 세계 최초로 상용화 서비스가 스타트되었다.
3. Wi-Fi 및 WiBro의 종류
4.2 Wibro
1.2 Wibro
와이파이와 와이브로의 definition 및 차이점 (wifi , wibro)
1.2 Wibro
3. Wi-Fi 및 WiBro의 종류
2.2 Wibro
4.1 Wi-Fi
와이브로(WiBro, Wireless Broadband)는 대한민국 삼성전자와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이 개발한 무선 광대역 누리망 기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