흥덕사본 직지(直指)의 몇몇 결함들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19 15:24본문
Download : 흥덕사본 직지(直指)의 몇몇 결함들.hwp
실제로 북한학계에서는 고려조 목활자 인쇄의 실례로서 12세기 초(1101-1122) 의천(義天)의 <석원사림(釋苑詞林)> 250권을 최초의 목활자본으로 들고 있따 글자의 줄이 고르지 못한 점 등 여러 가지 측면에서 ‘나무활자인쇄본이 틀림없다고 인정’된다 한다. 이 밖에도 북한에서는 고려의 목활자본의 실물로서 <황산곡시주>와 <두공부시> 두 종을 더 들고 있으며, 남한에는 같은 황정견(黃庭堅)의 다른 タイトル(제목) 을 가진 시집으로 고려 목활자본 <山谷詩集註> 20 권 11 책이 서울대에 소장되어 …(skip)
흥덕사본 <직지(直指)>의 몇몇 결함들에 대한 입니다.
흥덕사본 직지(直指)의 몇몇 결함들
%EC%9D%98%20%EB%AA%87%EB%AA%87%20%EA%B2%B0%ED%95%A8%EB%93%A4_hwp_01.gif)
%EC%9D%98%20%EB%AA%87%EB%AA%87%20%EA%B2%B0%ED%95%A8%EB%93%A4_hwp_02.gif)
%EC%9D%98%20%EB%AA%87%EB%AA%87%20%EA%B2%B0%ED%95%A8%EB%93%A4_hwp_03.gif)
%EC%9D%98%20%EB%AA%87%EB%AA%87%20%EA%B2%B0%ED%95%A8%EB%93%A4_hwp_04.gif)
%EC%9D%98%20%EB%AA%87%EB%AA%87%20%EA%B2%B0%ED%95%A8%EB%93%A4_hwp_05.gif)
%EC%9D%98%20%EB%AA%87%EB%AA%87%20%EA%B2%B0%ED%95%A8%EB%93%A4_hwp_06.gif)
[고인쇄culture]흥덕사본
흥덕사본 <직지(直指)>의 몇몇 결함들에 대한 자료입니다. [고인쇄문화]흥덕사본 , 흥덕사본 직지(直指)의 몇몇 결함들기타레포트 ,
설명
,기타,레포트
순서
레포트/기타
Download : 흥덕사본 직지(直指)의 몇몇 결함들.hwp( 67 )
다. 목활자는 약해서 오래 쓸 수가 없었으므로 자연스럽게 내구성이 있는 금속활자를 생각하게 된다 송(宋)나라로부터 서적을 활발하게 구입해오던 고려조로서는 다양한 China서적을 적은 부수로 찍어내기 위해 일찍부터 목활자를 사용했을 가능성이 크다. 이 책은 남한에 191, 192, 193, 194, 195 권이 남아있고, 서울대에 목판본 한 책이 있는 것으로 기록되어 있는데, 목활자본일 가능성은 충분히 인정되지만 구체적으로 확인해보지는 못하였다.
1. 머리말
금속활자에 의한 인쇄는 목활자에 의한 인쇄를 전제하기 마련이다. 목활자 인쇄는 목판인쇄보다 훨씬 일이 능률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