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남과 스침의 관계(만남의 관계로의 발전, 조하리 마음의 창문)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10 23:46본문
Download : 만남과 스침의 관계(만남의 관계로의 발전, 조하리 마음의 창문).hwp
만남과 스침의 관계(만남의 관계로의 발전, 조하리 마음의 창문) , 만남과 스침의 관계(만남의 관계로의 발전, 조하리 마음의 창문)인문사회레포트 , 만남과 스침 관계 만남 관계로 발전 조하리 마음 창문
만남과 스침의 관계
우리들이 경험하는 모든 인간관계를 크게 둘로 나누어 본다면, 그것은 `만남`과 `스침`의 관계로 구분해 볼 수 있을 것 같다.
어떤 의미에서 모든 인간은 두 가지 측면의 `자기`를 가지고 살아가고 있따 그 중의 하나는 있는 그대로의 자기 또는 참된 자기이고, 다른 하나는 남에게 보이기 위하여 꾸며진 자기 또는 가면을 쓰고 ` .인 체`하는 자기인 것이다. 필자는 본서에서 `만남`의 관계를 바람직한 인간관계로 보고, 이와 같은 관제의 발달을 장려하려고 하는 것이다.
우리가 말하는 만남의 관계는 있는 그대로의 `나`와 있는 그대로의 `너`가 서로 만나서 상호작용을 하는 관계를 말하고, 스침의 관계란 나 자신의 가면과 너 자신의 가면이 만나서 무의미하게 시간과 정력을 낭비하는 피상적인 관계를 말하는 것이다. 이것은 있는 그대로의 한 인간실존이 있는 그때로의 다른 인간실존과 만나서 사적으로 의미 있는 의사소통을 하는 일종의 본체론적 친교, 두 인간실존의 참된 융합을 나타내는 말이다.
포웰(J. Powell)에 의하면 실존주의 심리학에서 사용하는 만남(encounter)이란 두 사람 사이의 특별한 관계를 뜻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우리들이 일상생활에서 경험하고 있는 스침의 관계에서는 다른 사람들이 당하는 고통을 듣고 보는 경우라 할지라도 이에 대하여 별다른 감정이나 동정을 느끼지 못한 채 건성으로 대하게 된다 그렇지만 우리가 참 만남의 관계를 경험한 멀리 있는 한 친구에게서 온 편지를 통해 그 친구가 고통을 당하고 있거나 병증에 있다는 사실을 알았을 때, 우리가 당장에 그 친구의 고통을 무조건 동참하는 경험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만남의 인간관계를 우리는 생산…(省略)
만남과 스침의 관계(만남의 관계로의 발전, 조하리 마음의 창문)
만남과 스침의 관계(만남의 관계로의 발전, 조하리 마음의 창문)
만남과,스침,관계,만남,관계로,발전,조하리,마음,창문,인문사회,레포트
Download : 만남과 스침의 관계(만남의 관계로의 발전, 조하리 마음의 창문).hwp( 42 )
레포트/인문사회
_hwp_01.gif)
_hwp_02.gif)
_hwp_03.gif)
_hwp_04.gif)
_hwp_05.gif)
설명
순서
다. 이처럼 있는 그대로의 내가, 다른 있는 그대로의 한 인간실존과 만남의 관계를 경험하게 될 떼, 그는 더 이상 나의 이기적인 목적에 봉사하는 수단적인 존재가 아니라, 무엇인가 신비스럽고 만족스러운 친교 또는 동참의 경험을 함께 나누어 가지는 인간인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