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린벨트와 도시environment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05 02:42본문
Download : 그린벨트와 도시환경.hwp
,생활전문,레포트
그린벨트 지정의 목적 (도시계획법 21 조 제 1 항) 무질서한 도시확산방지 도시주변 자연환경보전 도시민의 건전한 생활환경... , 그린벨트와 도시환경생활전문레포트 ,
그린벨트와 도시environment
도시민(市民)의 건전한 생활environment...
레포트/생활전문
그린벨트 지definition 목적 (도시계획법 21 조 제 1 항)
무질서한 도시확산방지
도시주변 자연環境(환경)보전
도시민 의 건전한 생활環境(환경) 확보
국방상의 입지통제
-그린벨트의 環境(환경)적 기능
도시확산방지를 통한 環境(환경)훼손 억제
구역의 지정 자체로서 자연環境(환경)의 유지: 산림, 농토, 하천, 저밀도 주거지 등의 유지
공개 개방지로서 경관環境(환경) 및 미개발지 보전
절대녹지 면적의 확보
직접적 생태 보전 기능: 산소공급, 대기순환, 수자원 보전, 식생보전, 동식물 서식기능,
자연학습기능
토지의 사적이용억제를 통한 토지공공성 유지
環境(환경)보전의 상징성: 도시허파, 생명의 벨트, 環境(환경)보전의 상징, 環境(환경)운동의 상징
*참고: 그린벨트의 반環境(환경)적 기능
環境(환경)은 지적목적에서 부차적임
생태적 기능의 부재: 회색의 벨트 (산소공급의 미미, 생태종 부재 등)
토지공급 제한을 통한 고밀도 토지이용 및 이용의 파행화에 따른 環境(환경)훼손
탈법적 이용에 의한 토지의 황폐화
3. 도시環境(환경)구성에서 그린벨트
-도시環境(환경)시스템에서 그린벨트
인공계와 자연계의 매개의 장
도시環境(환경)순환 시스템의 한 축: 대기/물 순환의 한 축, 생태종의 분포되는 한 장
-도시토지이용체계에서 그린벨트 (도시環境(환경)체계의 인공계)
도심형 토지이용(활동체계)의 확산을 ‘차단’하는 토지이용(네가티브형 활동)
고밀도 도심형 토지이용에 대응하는 ‘저밀도’(예, 농촌)토지이용(環境(환경)친화형 활동)
광역도시권 관리를 위한 토지이용
-도시 녹지체계에서 그린벨트 (도시環境(환경)체계의 자연계)
도심녹지(소규모/근린녹지 등)를 외곽에서 감싸는 녹지체계
도심인공녹지를 외곽의 자연녹지로 연계하는 중간체계
-생태벨트로서 그린벨트 (도시環境(환경)체계의 생태계)
식생의 서식지 및 군락지
동물의 이동 축
생태적 기능의 집적지 (예, 농촌-유기농법-생태종보…(skip)



순서
Download : 그린벨트와 도시환경.hwp( 89 )
그린벨트 지정의(定義) 목적 (도시계획법 21 조 제 1 항)
무질서한 도시확산방지
설명
도시주변 자연environment보전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