벤담과 밀의 공리주의, 그 차이와 난점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04 16:52본문
Download : 벤담과 밀의 공리주의, 그 차이와 난점.hwp
공리주의는 ‘모든 인간은 쾌락을 추구하고 고통을 회피한다’라는 경험적 사실로부터 ‘쾌락은 선이고 고통은 악이다’라는 기본적 가치를 규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그렇다면 모든 인간은 쾌락을 추구하고 고통을 회피하여야만 한다’라는 쾌락주의적 기본명제에 그 중심을 두고 있습니다.
반면에 의무론적인 윤리설에서는 어떤 행위를 옳거나 그르게 만드는 것은 행위의 결과가 아니라 행위 자체의 종류입니다.
Download : 벤담과 밀의 공리주의, 그 차이와 난점.hwp( 19 )
순서
(1) 공리주의(Utilitarianism, 公利主義)의 출발점
(2) 벤담의 양적 공리주의
(3) 밀의 질적 공리주의
(4) 공리주의의 drawback(걸점)과 의의
(1) 공리주의(Utilitarianism, 公利主義)의 출발점
칸트의 의무론과 더불어 가장 큰 호소력을 지니는 윤리설 중의 하나인 공리주의는 기본적으로 목적론적인 태도를 취합니다. 즉 어떤 행위의 결과가 추구하는 목적에 도움이 된다면 그 행위는 옳은 행위이며 도움이 되지 않는다면 그 행위는 그른 행위입니다. 의무론적인 윤리설의 전형을 보여주는 것은 앞서 설명(explanation)한 칸트의 윤리설이라면 목적론적 윤리설의 전형은 공리주의라 할 수 있습니다. 바꾸어 말하면 한 사람이 어떤 행위를 한 결과나 모든 사람이 어떤 행위를 한 결과가 좋다면 그 행위는 옳은 행위가 된다는 것입니다. 즉 어떤 행위가 모든 도덕적 행위자가 행해야 하는 의무에 속하는 것일 경우 그 행위는 옳지만 의무에 반하는 것일 경우 그 행위는 그르다는 것 입니다. 어떤 행위의 결과가 바람직한 것이라면 그 행위는 좋은 행위이며 그렇지 못할 경우 그 행위는…(drop)
벤담과밀의공리주의
,인문사회,레포트
설명
레포트/인문사회
벤담과 밀의 공리주의, 그 차이와 난점



벤담과밀의공리주의 , 벤담과 밀의 공리주의, 그 차이와 난점인문사회레포트 ,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