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days.co.kr [test(실험) ] 산-해리 평형 > thedays6 | thedays.co.kr report

[test(실험) ] 산-해리 평형 > thedays6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thedays6

[test(실험) ] 산-해리 평형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29 05:15

본문




Download : [실험] 산-해리 평형.hwp





(정reaction )
(역reaction )
이를 통해 농도와 해리도는 반비례관계에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이제, 오차의 Cause 을 생각해보자.
우선, 온도의 영향을 우선 생각해 볼 수 있었다. 산-해리평형 , [실험] 산-해리 평형공학기술레포트 ,





순서
다. 또한, 용액을 묽히는 과정에서 찬 증류수를 사용했는데, 이 증류수가 섞이면서 계속 온도가 변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오차가 생길 수밖에 없다. 즉, 온도가 바뀌면 그 값도 자연히 바뀌게 된다된다. Ka 와 PKa 는 온도함수로서, 온도의 영향을 받는 값이다.

[실험]%20산-해리%20평형_hwp_01.gif [실험]%20산-해리%20평형_hwp_02.gif [실험]%20산-해리%20평형_hwp_03.gif [실험]%20산-해리%20평형_hwp_04.gif


,공학기술,레포트

산-해리 평형 실험 보고서 입니다. 만약 실험에서 사용하는 모든 용액을 중탕시켜 모두 25℃로 만들고 실험했다면, 정확한…(drop)


Download : [실험] 산-해리 평형.hwp( 22 )


레포트/공학기술
산-해리평형



설명

산-해리 평형 test(실험) 보고서 입니다. Ka와 PKa의 mean(평균)값을 구해서 theory 값과 비교하였기에 결국 오차가 많이 나게 되었으며, Cause 을 생각해보면 용액을 묽힐 때의 착오와 pH meter를 이용할 때 오차를 생각해볼 수 있다 오차의 Cause 은 나중에 종합적으로 생각해보도록 하자.
표에서 보면, 강산인 B가 약산인 A보다 %해리도가 큰 것을 알 수 있다 또 농도가 작을수록 pH값이 커지고, %해리도도 커지는 것을 알 수 있다 그것은 농도가 낮아졌을 때 정reaction 이 느려지는 정도가 역reaction 이 느려지는 정도보다 작기 때문이다 곧, 정reaction 은 HA의 몰농도에만 영향을 받으나 역reaction 은 H+와 A- 두 가지의 영향만을 받기 때문에 농도가 낮아질수록 역reaction 의 속도가 낮아지는 것이다.
[test(실험) ] 산-해리 평형


theory 적인 Ka, PKa의 값과 실험결과를 비교해보면 오차가 많이 나지만 結論적으로 A는 약산인 아세트산, B는 강산인 인산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pH 만 비교해보아도 알 수 있다 농도가 진한 각각의 두 실험들은 비교적 Ka와 PKa가 일정하게 실험결과가 좋은데 농도를 묽힐수록 수치가 변동이 너무 심했다.(산이 이온이 되는 reaction 은 대부분 에너지가 필요하기 때문에, 활성화 에너지 이상의 에너지를 가진 입자가 많을수록 reaction 이 쉬어지며 빨라진다. 농도를 낮출 때마다 온도를 측정(測定) 했어야 하는데, 그것을 하지 못해서 아쉽다.) theory 값은 온도가 25℃ 일 때의 값인데, 실험실의 온도는 이와 같다고 단정지을 수 없다.
전체 30,826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thedays.co.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