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시 새롭게 만나야 할 과학과 종교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19 01:52
본문
Download : 다시 새롭게 만나야 할 과학과 종교.hwp
그러나 과연 이런 과학기술문명이 인류의 future 를 책임지며 인간 삶을 행복하게 이끌 수 있는 것일까? 자율성을 최고의 미덕으로 삼았던 근대 이후 인류는 효율성을 신봉하였고 효율성의 이데올로기는 오늘에 이르기가지 전 자연을 볼모로 끝모르는 진보를 약속하고 있다아 그러나 자연 생명을 물질로 환원시킨 근대 기계론적 세계관에 의해 21世紀가 맡겨지게 될 때 그것은 종교와 과학 모두를 위해서 불행한 일이 될 수밖에 없다. 과학이 자연을 비활성적인 기계와 같은 것으로 이해하고 조작하는 한, 대상화된 자연은 더 이상 은총의 영역이 될 수 없으며 인간의 찬양과 감사 역시 감소되어 종교는 자연 그 자체의 본성을 억압한채 인간과 하느님간의 타락-구원 드라마로 전락해 버릴 수있기 때문일것이다 M. Fox & R. Sheldrake, Natural Grace, Doubleday Dell Publishing Group 1996. 1장.
그렇기에 자연의 본성을 새롭게 발견하는 일은 과학과 종교의 새로운 만남을 위해서 절대적으로 중요하다. 그간 자신의 전영역을 여타 학문 분야에게 내어준 채 죽음과 죄의 문제를 부여잡고 자신의 아성을 지켜온 기독교는 유전정보 해독및 생명복제 기술의 등장으로 그 영역마저 빼앗길 처지에 놓여 있는 것이다. 종래의 과학이 기계론적 자연관의 바탕위에 성립되었고 이러한 기계론적 세계관이 종교개혁 이후 개신교 신학과 내적으로 조우하였음을 알기 때문일것이다 David C. Lindberg, God & Nature:Historical Essays on the Encounter between Christianity and Science, 이정배…(drop)
다시 새롭게 만나야 할 과학과 종교






설명
기독교사상 99년도 신년 특집 ‘백년을 회고하며, 십년을 내다보며’를 위해 필자가 선택한 주제는 과학과 종교간의 간(間)학문적 대화에 관한 것이... , 다시 새롭게 만나야 할 과학과 종교인문사회레포트 ,
다. 또 다른 새 천년기를 맞이하게 될 인류는 생명Engineering, 정보과학 등의 이름하에 전대미문의 첨단 과학기술문명을 경험할 것이며 그로인해 종교의 자리는 점점 협소해 질 수 있다고 생각한다.기독교사상 99년도 신년 특집 ‘백년을 회고하며, 십년을 내다보며’를 위해 필자가 선택한 주제는 과학과 종교간의 간(間)학문적 대화에 관한 것이...
Download : 다시 새롭게 만나야 할 과학과 종교.hwp( 91 )
레포트/인문사회
,인문사회,레포트
순서
기독교사상 99년도 신년 특집 ‘백년을 회고하며, 십년을 내다보며’를 위해 필자가 선택한 주제는 과학과 종교간의 간(間)학문적 대화에 관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