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조주의 관점에서의 시구르드 신화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04 11:51본문
Download : 구조주의 관점에서의 시구르드 신화.hwp
이에 로키는 ‘흘레시’에 사는 바다의 신 ‘아에기르’의 처인 ‘란’이 만든…(drop)
구조주의 관점에서의 시구르드 신화
Download : 구조주의 관점에서의 시구르드 신화.hwp( 48 )
,기타,레포트
설명






순서
레포트/기타
구조주의 관점에서의 시구르드 신화up시구르드신화 , 구조주의 관점에서의 시구르드 신화기타레포트 ,
다.
구조주의 관점에서의 시구르드 신화
up시구르드신화
I. 서론
II. 본론
II.1 순차적인 신화 읽기
II.2 다발로 본 신화
II.2.1 보물의 이동
II.2.2 본성의 극복과 이상의 획득
* 시구르드의 업적
* 시구르드의 실패
* 시구르드 신화에 등장하는 여성들
III. conclusion(결론)
◎ 참고 문헌
I. 서론
일반적으로 『시구르드의 신화』는 『니벨룽의 노래』가 북유럽쪽으로 전파되어 형성된 이야기로 생각되고 있다 둘의 신화에는 비슷비슷한 모티프가 등장하지만, 그것의 배열과 이야기되는 방식, 극 중에서 차지하는 의미는 얼핏 보아 판이하게 다르다.
II. 본론
II.1 순차적인 신화 읽기
II.1.1 Seq.1
오딘과 로키, 호니르가 여행을 하는 도중 수달 ‘오투르’를 죽인다. 어부 ‘흐레이드마르’와 그의 두 아들 ‘레긴’, ‘파프니르’는 그들의 동생이 죽은 것에 대하여 몸값을 요구하였다. 『시구르드의 신화』의 등장 인물들의 이름을 살펴 보면, 『니벨룽의 노래』에 등장하는 그들과 약간의 발음 상의 차이를 빼 놓고는 유사하다.
이번에 『니벨룽의 노래』를 뒤메질의 기능론으로 살펴보면서 이에 influence(영향)을 받은 『시구르드의 신화』를 살펴보는 것 역시 의미 있는 일이 될 것이라고 생각했다. 『시구르드의 신화』는 『니벨룽의 노래』의 influence(영향)을 받긴 했지만, 인물들의 이름과 구체적인 모티프만을 따 왔을 뿐 그것에 다른 의미를 부여한 것으로 보인다.
이번 작업에서는 이 두 작품의 비교를 하는 것보다는 레비-스트로스의 구조주의 -- 정말 멋지고도 난해한 理論(이론)이다!! --를 적용하여 『시구르드의 신화』를 읽어보는 것에 주력하였다.
『니벨룽의 노래』와는 달리 『시구르드의 신화』에는 ‘접근할 수 없는 곳에서 잠자고 있는 미녀’나 ‘영웅을 방해하는 마녀’, 그리고 ‘망각하는 영웅’의 모티프들이 발견되고 있다 둘은 매우 흡사하지만, 대립되는 요소도 많이 발견된다 흥미로운 일이 아닐 수 없다. 또한 『니벨룽의 노래』에서 등장하는 중요한 모티프인 용의 살해자로서의 영웅, 힘센 마법의 처녀를 대신 정복해 주는 영웅이 그대로 등장하고 있다 그렇지만, 이 모티프들이 등장하는 위치와 그 때의 영웅의 역할 등은 미묘한 차이 -- 어떻게 보면 상당히 큰 차이일 수도 있다 -- 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