듀이와브루너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14 02:18본문
Download : 듀이와브루너.hwp
많은 지식의 분야에서 커다란 진전이 있었으나 이러한 진전이 학교에서 가르치는 내용에는 반영되지 못하고 있었다.
‘교육의 과정’이란 책이 나온 시기를 다시 생각해 보자. 1959년은 당시 학교들의 병폐로 여겨지던 지적인 무목적성에 관해 관심이 높았던 시기이다. 그러나 ‘교육의 과정’에서 지식의 구조가 과연 무엇인지 정확한 定義(정의) 定義(정의)를 내린 것은 아닌것이다 . 사실, 지식의 구조라는 定義(정의) 은 학교에서 무엇을 가르쳐야 할 것인가에 대한 브루너의 생각을 함축해서 나타낸 것으로, 어떤 하나의 정확한 진술 용어로 그 의미를 나타내기에는 무리가 따른다. 실제로 브루너는 가장 중요한 학습goal(목표) 로서 한 교과의 핵을 이루고 있는 기본적인 定義(정의) , 기본적인 아이디어, 원리 그리고 교과의 기저를 이루고 있는 공리 등의 용어…(생략(省略))





듀이와브루너
듀이와브루너,사범교육,레포트
듀이와브루너
레포트/사범교육
Download : 듀이와브루너.hwp( 42 )
설명
듀이와브루너 , 듀이와브루너사범교육레포트 , 듀이와브루너
순서
다. 학문의 대열에서 머리와 꼬리라고 불릴 수 있는 양자 사이에는 커다란 격차가 벌어지고 있었다. 1. 교육goal(목표) 측면에서의 비교
1) 지식의 구조론
1959년 열린 우즈 호울 회의의 결과 보고서는 브루너에 의해서 ‘교육의 과정(The Process of Education)`이라는 책자로 출판된다 이 책은 회의 참석자들의 연구에 기반을 둔 것으로, ’지식의 구조‘라는 定義(정의) 은 이 책에서 intro 되고 해설된 定義(정의) 이다.… 스푸트닉 발사 직후 캠브리지 대학에 있던 나의 동료 중 일부는 오늘날 미국이 당면한 커다란 문제는 현대 물리학과 수학의 성과가 중등학교 교육과정에 반영되지 않고 있기 때문이라고 주장하였다. (Bruner, 1971)
표 브루너가 밝힌 ‘교육의 과정’이란 책이 나오게 된 배경
그러나 이 책에 제시된 說明(설명) 을 볼 때, ‘구조’란 ‘사실이나 현상을 엮어주는 핵심적인 定義(정의) 과 원리’를 뜻하며, 따라서 ‘지식의 구조’란 ‘각 학문의 기저를 이루고 있는 핵심적인 定義(정의) 과 원리’를 뜻한다고 볼 수 있다 즉, 지식의 구조란 단순한 사실들이나 잡다한 현상에 대한 정보가 아니라, 이러한 사실이나 현상을 서로 관련짓고 체계화하는 주요 定義(정의) 이나 원리인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