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정치 사상의 흐름 요점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5 22:19본문
Download : 한국정치사상의 흐름.hwp
한국 정치 사상의 흐름 요점
///





다.순서
퇴계의 무진육조소와 율곡의 동호문답은 조선 시대를 대표하는 두 성리학자가 어떻게 나라를 다스려야 할 것인가에 대해 논한 글이다.
한국정치,율곡,이이,퇴계,이황,정도전,일제,강점기,성리학,유교
9.‘중추계급과 사회‘, ‘조선민족 갱생의 도‘에서 나타나는 일제강점기 상반된 지식인의 시각
설명
4. ‘퇴계집-무진육조소’, ‘율곡집-동호문답’을 통해 본 조선 성리학의 흐름
10.‘경국제민’과 한국자본주의 및 유교자본주의론의 반유교적 성격
퇴계의 무진육조소는 왕에게 간언하는 내용으로 6가지 조항으로 구성돼 있다아 전체적으로 유교의 근본을 되살려 유학으로서 정치를 행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아 첫 번째 항에서는 계통을 중시해 인효를 온전하게 할 것을 말하고 있다아 효는 백행의 근원이고, 인은 만 가지 선의 장이라고 말하며 이 둘을 모든 것의 근본으로 삼아야 한다고 말하고 있다아 두 번째 항에서는 특이하게도 환관과 여성에 대해 말하고 있다아 당시 궁전 안에서 횡행하던 각종 모략이나 모함 등을 염두에 둔 발언으로 생각된다된다. 세 번째 항에서는 성학을 돈독하게 할 것을 주장하고 있다아 특히 대학과 중용을 언급하며 배움을 멀리하지 않을 수 없고, 물음을 자세히 하지 않을 수 없으며, 생각을 삼가지 않을 수 없고, 변별을 분명히 하지 않을 수 없다고 말하고 있다아 왕의 기본 되는 자세가 끊임없이 배우고, 자신의 몸을 조심하는데 있음을 말하고 있는 것이다. 목차와 참고문헌에서 알 수 있듯이 주요 저작들을 참고해서 이론을 정리했습니다.
7. ‘국가빈궁지고’, ‘서유견문’에서 보는 개화기 지식인의 국가관과 국가발전전술
5. 봉사, 예송변을 통한 주자학을 바탕으로 한 국가질서의 확립 양상 고찰
2. ‘고려사절요‘ 논평
한국정치 사상사 수업에서 한국 사상사에서 각 시기별로 나타났던 주요한 텍스트들을 요점한 資料입니다. 17세기 당시는 사림이 득세를 해나가던 시기였으며, 두 사람의 글 모두에서 당시의 問題點에 관련되어 지적하고 유교의 근본을 되돌리려는 노력을 느낄 수 있다아
3. ‘정도전-불씨 잡변’, ‘변계량-지극한 정치에 이르는 길’을 통한 조선 초 성리학의 불교 비판
6. ‘목민관은 무엇인가’, ‘선인문’에서 보는 실학 사상의 도입과 전개
목차와 reference에서 알 수 있듯이 주요 저작들을 참고해서 理論을 요점했습니다. 이어 네 번째 항에서도 도술을 밝혀 인심을 바로 잡을 것을 말하고 있다아
Download : 한국정치사상의 흐름.hwp( 43 )
1. ‘플루타르크 영웅전 - 테세우스, 로물루스‘ 와 ‘동명왕편-병서’ 비교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8. ‘조선 유학의 하늘 개념(槪念)에 담긴 관념성과 인격성’, ‘조선 성리학의 자연관’에서 나타나는 조선 유학의 하늘 개념(槪念)에 담긴 관념성과 인격성
한국정치 사상사 수업에서 한국 사상사에서 각 시기별로 나타났던 주요한 텍스트들을 정리한 자료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