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양의 민속文化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0 06:54본문
Download : 밀양의 민속문화.hwp
레포트/인문사회
설명
순서
밀양의 민속文化에 대한 자료(資料)입니다.
백중놀이는 `호미씻기`라는 명칭으로 널이 알려져 있는데, 이것은 논매기와 밭매기가 끝나서 호미를 씻어 넣어 둔다는 뜻에서 나온 것으로 주로 중부 이남 농경 지역에서 세벌 논매기를 마친 음력 7월 보름경, 그동안 고된 노역을 해오던 소작인과 머슴들을 위해 지주들이 마련해준 위로 잔치인 셈이…(생략(省略))
밀양의 민속문화에 대한 자료입니다.
내가 태어나고 자란 밀양시에는 과연 어떤 culture 유산이 있을까? 그 중 지금까지 계승되고 있는 밀양 백중놀이와 밀양 아랑제의 의의·유례·활성화 plan 등을 살펴봄으로서 전통정신을 고취시키고, 발전 plan을 모색해본다. 또 흰 시루떡을 쪄서 논둑이나 들판에 차려 놓고 제사를 지내며 풍년을 기원하기도 했다.
밀양 백중놀이
백중은 음력 7월 보름날을 뜻하며, 음력 1월 보름을 상원, 10월 보름을 하원이라 불렀던 데서 중원(中元)이라 부르기도 한다. 온갖 음식을 장만해 온 마을 사람들이 한데 모여 어울려 먹고 마시고 노래하고 춤추며 놀았는데, 고장에 따라 씨름이나 여러 가지 힘자랑 내기를 하기도 했다. 리포터-민속[1] , 밀양의 민속문화인문사회레포트 ,
Download : 밀양의 민속문화.hwp( 73 )
밀양의 민속文化






,인문사회,레포트
리포터-민속[1]
다. 조선 때의 풍습을 보면 백중날은 일꾼들, 소작인이나 머슴들의 위안의 날이자 축제의 날로서 그 해의 풍농을 기원하는 행사이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