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days.co.kr 마산 양덕 성당 (1977-1979) > thedays4 | thedays.co.kr report

마산 양덕 성당 (1977-1979) > thedays4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thedays4

마산 양덕 성당 (1977-1979)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15 06:50

본문




Download : 마산 양덕 성당 (1977-1979).hwp





승효상이 종교 건축에 대하여 갖고 있었던 신념은 ‘구속당하므로서 자유를 얻는다’는 성서 구절로 대변된다 그에 따르면, 종교에는 반드시 신이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마산 양덕 성당 (1977-1979)


,공학기술,레포트


마산양덕성당건축



설명

Download : 마산 양덕 성당 (1977-1979).hwp( 38 )


순서
마산 양덕 성당을 설계하면서 당시 한국에 있었던 많은 서양식의 건물들을 참고물로 상정하지 않고 오히려 종교 건축의 궁극적인 기능과 서양 건축사에 나타난 종교 건축의 경향에 관련되어 주목했다. “인간끼리의 친교만을 강조하는 교회, 신성을 잊고 있는 교회에서 인성보다는 신성을 먼저 느끼고, 그 다음에 다시 인성을 느끼는 것이” 종교 건축의 가장 중요한 사항이라고 생각했다. 카타콤은 그가 내부공간을 설계하면서 근거하였던 주요 레퍼런스였다고 여겨진다. 이를 위해 교회는 본연의 모습으로 돌아가야 한다는 것이다. 이 때 신학적인 측면에서 그리고 양식사적인 측면에서 theory 적인 토대를 제공한 사람은 개신교 신자였던 승효상이었다. 초기 교회가 가지는 경건함과 엄격함이 있고, 각 신자들은 공동체 의식으로 충만해 있었기 때문일것이다 그가 쓴 글 가운데, ‘낮고 어두우며 폭 감싸는 듯한 분위기’와 ‘허식에 빠지지 않는 인간중심의 공간’ ‘배타적이고, 보수적인 위엄과 권위를 떠나 포용적이고 발전적인 겸양과 소탈함으…(생략(省略))
마산양덕성당건축 , 마산 양덕 성당 (1977-1979)공학기술레포트 ,


마산%20양덕%20성당%20(1977-1979)_hwp_01.gif 마산%20양덕%20성당%20(1977-1979)_hwp_02.gif 마산%20양덕%20성당%20(1977-1979)_hwp_03.gif 마산%20양덕%20성당%20(1977-1979)_hwp_04.gif


레포트/공학기술


다. 그리고 자신이 그때까지 발전 시켜 왔던 공간관념, 즉 인간적인 척도를 가진 공간과, 주공간과 부공간의 대비와 같은 관념을 종교건축을 위한 공간으로 변용시켜서 적용하려고 하였다.
전체 30,830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thedays.co.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