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 Ataxia [운동실조]에 관해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9 02:29본문
Download : [의학] Ataxia [운동실조]에.hwp
(운동마비나 불수의 운동에 의한 것은 제외함) 1) 협조운동장애 ① 사지의 동작 때에 볼 수 있는 운동실조 ② 협조운동장애를 조사하는 방법 중의 하나로 finger-nose test(손가락- 코 시험: 집게손가락을 코에 갖다대는 test)가 있음.
[의학] Ataxia [운동실조]에 관해
척수후삭성 운동실조를 나타냄.
③ 악성빈혈에 따른 척수연합경화증에서는 척수의 추체와 함께 척수의
Download : [의학] Ataxia [운동실조]에.hwp( 55 )
① 사지의 동작 때에 볼 수 있는 운동실조
- 동작을 하려고 할 때 운동이 원활하게 되지 않고 목적하는 동작에
후삭도 변성하기 때문에 척수후삭성의 운동실조가 보임.
협조성이 상실되는 것이다.
1) 척수후삭(척수로) 운동실조
다.) - Romberg징후 양성은
1) 협조운동장애
② 협조운동장애를 조사하는 방법 중의 하나로 finger-nose test(손가락-
2) cerebellar Ataxia(소뇌성 운동실조)
설명
레포트 > 의학계열
- 척수후삭(척수로) 운동실조와 달리 시각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는 것이 특징임.
장애 되기 때문임. → finger-nose test(손가락-코시험), heel-knee test
의학,Ataxia,운동실조
② 매독에서 기원되는 척수로는 척수의 후삭에 병변이 있어서 전형적인
눈을 감음으로써 몸의 동요가 심하게 나타나서 넘어져 버리는 경우. - 걷는 것이 불안정하고 세밀한 동작을 원할히 하지 못하는 동작장애가 출현함.
① Romberg test(양쪽 발을 모으고 똑바로 세우고 눈을 뜨거나 또는
- 시각의 영향이 큰 것이 특징이므로 눈을 뜨고 있을 때에 비해 감고
![[의학] Ataxia [운동실조]에-6312_01.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07/%5B%EC%9D%98%ED%95%99%5D%20Ataxia%20%5B%EC%9A%B4%EB%8F%99%EC%8B%A4%EC%A1%B0%5D%EC%97%90-6312_01.jpg)
![[의학] Ataxia [운동실조]에-6312_02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07/%5B%EC%9D%98%ED%95%99%5D%20Ataxia%20%5B%EC%9A%B4%EB%8F%99%EC%8B%A4%EC%A1%B0%5D%EC%97%90-6312_02_.jpg)
![[의학] Ataxia [운동실조]에-6312_03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07/%5B%EC%9D%98%ED%95%99%5D%20Ataxia%20%5B%EC%9A%B4%EB%8F%99%EC%8B%A4%EC%A1%B0%5D%EC%97%90-6312_03_.jpg)
![[의학] Ataxia [운동실조]에-6312_04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07/%5B%EC%9D%98%ED%95%99%5D%20Ataxia%20%5B%EC%9A%B4%EB%8F%99%EC%8B%A4%EC%A1%B0%5D%EC%97%90-6312_04_.jpg)
![[의학] Ataxia [운동실조]에-6312_05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07/%5B%EC%9D%98%ED%95%99%5D%20Ataxia%20%5B%EC%9A%B4%EB%8F%99%EC%8B%A4%EC%A1%B0%5D%EC%97%90-6312_05_.jpg)
순서
- 동작을 하려고 할 때 운동이 원활하게 되지 않고 목적하는 동작에 협조성이 상실되는 것이다. (운동마비나 불수의 운동에 의한 것은 제외함)
(발꿈치-무릎시험)에서 눈을 감고 그 동작이 원할하게 되지 않는다. ④ Fried-reich병, 스몬(SMON)에서도 같은 모양의 운동실조 보임.
코 시험: 집게손가락을 코에 갖다대는 test)가 있음.
있을 때 동작이 잘 안 됨. - 후삭장애에 의해 심부감각(특히 위치감각)이
감았을 때에 몸의 동요 유무와 정도를 비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