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days.co.kr [긴급진단/SW 특허 리스크] 세계 휴대폰업계는 `특허 대응 전쟁 중` > thedays3 | thedays.co.kr report

[긴급진단/SW 특허 리스크] 세계 휴대폰업계는 `특허 대응 전쟁 중` > thedays3

본문 바로가기

thedays3


[[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


[긴급진단/SW 특허 리스크] 세계 휴대폰업계는 `특허 대응 전쟁 중`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3 14:16

본문




Download : 110930013120_.jpg






 삼성전자와 마이크로소프트(MS)가 특허 라이선스를 체결하자 증권사 애널리스트와 변리사들이 내놓은 分析이다. 향후 SW 특허에 취약한 국내 휴대폰 업체를 표적으로 삼을 수 있는 셈이다. 부품 수급단가를 낮춰 특허료 부담을 상쇄할 수 있기 때문이다
 안드로이드 특허침해 문제로 오라클과 법정공방을 벌이고 있는 구글도 모토로라모빌리티 인수라는 극약처방을 단행했다.




“특허 대응력이 세계 스마트폰 시장 판도를 좌우하는 시대가 왔다. 거금의 특허료 리스크에서 살아남는 기업 중심으로 시장 구조조정이 급물살을 탈 것이라는 展望(전망) 이다. S3그래픽스가 애플과 특허소송에서 승소한 전력이 있기 때문이다
list_blank.png list_blank_.png list_blank_.png list_blank_.png list_blank_.png
다. 특허가 취약한 리서치인모션(RIM)·소니에릭슨 등도 애플 컨소시엄에 동참했다.
 ◇특허 확보 경쟁 ‘불꽃’=글로벌 휴대폰 업계는 이미 특허 확보에 사운을 걸다시피하고 있다 MS·오라클 등 글로벌 SW 기업이 움직이기 시작한 데다 애플·노키아 등 경쟁 제조사 특허 소송도 잇따르고 있기 때문이다
 조성은 KB투자증권 연구원은 “앞으로 스마트폰에는 신기술 도입이 더 많아져 특허료 부담 비중은 점점 올라갈 수밖에 없다”며 “대외 협상력 약한 중소업체 부담이 가중될 것”이라고 展望(전망) 했다. 이 때문에 시advantage유율이 높은 삼성전자·애플·노키아 등이 가격협상에서는 유리할 것으로 예상된다된다.”
 ◇ 해외기업 모바일 특허 대응 現況(현황)
장지영기자 jyajang@etnews.com

[긴급진단/SW 특허 리스크] 세계 휴대폰업계는 `특허 대응 전쟁 중`
 ◇협상카드 없으면 시장 퇴출=특허 확보전쟁은 대부분 크로스 라이선스를 염두에 둔 포석이다. 다소 많은 인수금액으로 HTC 주가가 급락했지만 HTC는 이 회사 인수로 현재 맞소송 중인 애플과의 특허전에서 유리한 위치에 올라섰다. 노키아는 일찌감치 ‘윈도폰’에 올인하면서 MS 특허 공세를 피해가는 양상이다.

설명

Download : 110930013120_.jpg( 77 )




[긴급진단/SW 특허 리스크] 세계 휴대폰업계는 `특허 대응 전쟁 중`
 삼성전자·LG전자 등 주요 부품을 자체 생산하거나 자회사에서 수급하는 국내 기업 운신 폭도 넓어질 展望(전망) 이다.순서



레포트 > 기타
 
 통신·HW 분야 특허가 취약한 애플은 무려 45억달러를 투자해 캐나다 통신장비 업체 노텔의 특허 6000여건을 인수했다.
 삼성전자는 이번 MS와 라이선스 계약에서 통신 기술을 제공하고 그나마 낮은 로열티를 지불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많이 파는 대신 대당 로열티 가격을 깎을 수 있기 때문이다
[긴급진단/SW 특허 리스크] 세계 휴대폰업계는 `특허 대응 전쟁 중`
 MS가 삼성전자와 체결한 특허는 휴대폰 제조사 대부분이 피해갈 수 없기 때문이다 특허 리스크가 삼성전자·애플 등 특허 협상에 유리한 메이저 중심으로 시장재편을 불러올 것이라는 이야기다. 미국 그래픽카드 솔루션업체 S3그래픽스를 3억달러에 인수한 것은 상징적인 대응으로 꼽힌다.


 대만 HTC도 특허전 준비에 한창이다.





[긴급진단/SW 특허 리스크] 세계 휴대폰업계는 `특허 대응 전쟁 중`


 삼성전자 등에 특허 공세를 펼치고 있는 애플도 비상이다. 6000여건의 특허 포토폴리오에는 인터넷(Internet) 검색, 소셜 네트워크 등 다양한 SW 특허도 포함됐다. 하지만 MS·오라클 등 SW 업계 특허공세에는 제조사가 마땅히 바꿀 카드가 별로 없다.
 소니에릭슨·모토로라 등 중하위권 업체들은 생산단가에 특허료 부담이 커질 수밖에 없다. 4세대 통신 롱텀에벌루션(LTE)에서 세계 최다 특허를 보유한 LG전자도 이런 면에서는 유리할 것으로 보인다.
REPORT 73(sv75)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thedays.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

[저작권이나 명예훼손 또는 권리를 침해했다면 이메일 admin@hong.kr 로 연락주시면 확인후 바로 처리해 드리겠습니다.]
If you have violated copyright, defamation, of rights, please contact us by email at [ admin@hong.kr ] and we will take care of it immediately after confirmation.
Copyright © thedays.co.kr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