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술론에 관하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16 17:13본문
Download : 주술론에 관하여.hwp
前揭書 正月 立春
端午에도 觀象監에서는 朱砂로써 天中節의 붉은 符籍을 박아 대궐 안으로 올린다.. 레포트에 많은 참고 되었으면 좋겠습니다주술론 , 주술론에 관하여기타레포트 ,
순서
다. 하나는 붉은 도포와 까만 사모를 쓴 상이고, 둘째는 鍾馗가 귀신잡는 상이며, 세째는 귀신의 머리다. 붉음은 곧 赤이니 赤은 곧 陽이며 陽은 陰을 驅逐하는 呪力이 있다고 믿었기 때문에 이처럼 붉은 색으로 像이나 符籍을 그리고 문자를 써서 災厄의 잡귀가 침범하지 못하도록 하는 습속이 발생하였을 것이다. 그러므로 여러 官家와 戚里의 문짝에도 모두 이 것들을 붙이고 여염집에서도 모두 이를 본뜬다.. 레포트(report) 에 많은 참고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주술론에 관하여
Download : 주술론에 관하여.hwp( 52 )
주술론
주술론에 관하여 여러자료를 참고로 정리해봤습니다. 이렇게 해서 액과 나쁜 병을 물리친다. 이러한 상을 그려 겹대문이나 문설주에 붙임으로써 잡귀의 침범을 방지하고자 하였으니, 이는 잡귀로 하여금 공포를 느껴 그 곳에 접근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한 일종의 驚壓法이라 할 수 있따
그런데 畵像뿐만 아니라 文字나 符號로써 잡귀의 침입을 방지하기도 하였다. 前揭書 正月 元日
닭과 호랑이가 지니는 민속적 의미에 대하여서는 前章 「豫兆와 占卜」-「自然現象에 依한 占卜」-「動物의 變態와 占卜」項
에서 이미 언급…(skip)
설명
레포트/기타
주술론에 관하여 여러자료(data)를 참고로 정리해봤습니다. 그러면 대궐 안에 서는 그것을 문설주에 붙여 불길한 재액을 막게 한다.






,기타,레포트
元日 궁중에서는 붉은 도포와 까만 사모를 쓴 像을 그려 궁전의 겹대문에 붙이기도 하고 또 鍾馗[중 국에서 疫鬼·마귀를 쫓는 神]가 귀신 잡는 상을 그려 붙이기도 하며, 또 귀신의 머리를 그려 문설주에 붙이기도 한다. 이러한 상들은 한마디로 잡귀들이 두려워하는 상들이다. 前揭書 正月 端午
이상의 몇 가지 例 가운데 어디서나 찾아볼 수 있는 공통점은 붉은 색이 이용되었다는 사실이다. 士大夫의 집에서도 그것을 붙인다. 前揭書 正月 元日
위에서 보면 세 가지 像이 등장한다.
立春에 觀象監에서는 朱砂로 辟邪文을 써서 대궐 안으로 올린다.
항간에서는 벽 위에 닭과 호랑이의 그림을 붙여 액이 물러가기를 빈다. 그러면 대궐 안에서는 그것을 문설 주에 붙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