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전춘별사의 성격과 구조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9-04 21:27
본문
Download : 만전춘별사의 성격과 구조.hwp
2-1. 남녀상열지사와 송도지사 (고려가요의 이중적인 성격)
조선시대 유학자들이 고려의 노래를 남녀상열지사라고 평가한 이유는 첫째, 여자의 직접적 감정 폄시·탐닉과 허무에 대한 배격·남녀의 정욕 배격 등의 유학사상에 따른 이유 김영수, 『조선초기시가론연구』 일지사 1989와 둘째, 고려를 부정하고 일어선 왕조이기에 그때의 정치적·culture적 입장 등이다.만전춘별사의성격과 , 만전춘별사의 성격과 구조자연과학레포트 ,
만전춘별사의성격과






,자연과학,레포트
Download : 만전춘별사의 성격과 구조.hwp( 26 )
순서
다. 그리하여 고려가요는 민요적인 성격과 함께 궁중음악으로서의 성격을 가지며, 문학적인 성격과 함께 음악적인 성격을 가지는 이중적인 성격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그리하여 당악정재의 치어와 구…(drop)
고려가요인 `만전춘별사`의 성격과 구조에 대하여 설명(explanation)한 보고서입니다. 그리하여 고려가요는 중세음악의 여민락, 선곡후사라는 성격을 가지게 된다 여민락이란 백성과 함께 음악을 즐긴다는 것으로서 민요를 궁중음악으로 수용하게 되는 성격을 말하며 선곡후사란 곡이 먼저 있은 후에 사를 붙인다는 말로서 곡에 의해서 가사가 변하게 되는 성격을 말한다.레포트/자연과학
김쾌덕, 『고려노래 속가의 사회배경적 연구』, 국학data(資料)원, 2001
박노준, 『高麗歌謠의 硏究』, 새문사, 1990
성현경, 『고려시대의 언어와 문학』, 형성출판사, 1975
김열규외, 『한국고전시가작품론1』, 집문당, 1995
김승찬외, 『韓國文學槪論』, 삼지사, 1995
최철외, 『韓國古典詩歌史』, 집문당, 1997
박병채, 『새로고친 고려가요의 어석 연구』, 국학data(資料)원, 1994
2. <만전춘별사>의 성격
고려가요는 궁중속악으로 채택된 노래들이다. 표기문자가 없던 시절 한시 위주의 풍토 속에서도 그 모습을 전할 수 있었던 것은, 그나마 노래에 실려 전승되었고 더욱이 궁중음악으로 수용되었기에 가능했다. 최철외 『한국고전시가사』 집문당 1997
한편 고려의 노래에는 송도지사가 많이 나타나는데 이는 민간의 노래를 궁중악으로 수용한 데 따른 것으로서, 고려 속악 특유의 culture적 토양에서 생겨난 특이한 면모라고 할 수 있따 고려의 노래는 당악의 influence(영향)을 많이 받아 그 형식과 내용, 정조 면에서 많은 유사점을 가지고 발전해왔다.
고려가요 <만전춘별사>도 또한 그러한 성격을 가지고 있따 남녀간의 사랑을 주제로 하는 민요적인 성격과 함께 송도지사라고 하는 궁중음악적인 성격을 지니고 있으며 또한 문학적인 성격과 함께 여음구, 조흥구 등의 음악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설명
만전춘별사의 성격과 구조
고려가요인 `만전춘별사`의 성격과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 레포트입니다. 윤성현 「고려속요의 서정성 연구」 연세대 박사논문 1994 또한 고려 후기의 사회적 분위기와 맞물려 실제로 남녀간의 사랑을 많이 노래했던 때문으로도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