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근대 연극론의 전개과정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20 22:30
본문
Download : 한국 근대 연극론의 전개과정.hwp
③ 김우진의 연극비평론
김우진은 1920년대의 가장 주목할 만한 연극비평가이다.
김우진은 또 「구미현대극작가론」(ꡔ시대일보ꡕ, 1926.1~5)에서 영국의 밀른(A.A.Milne), 이탈리아의 피란델로(Luigi Pirandello), 체코의 차펙(Karel Capec), 미국의 오닐(Eugene O`neill) 등의 당대의 극작가들에 대한 치밀한 작가론을 전개하고, 홍해성(洪海星)과 공동으로 집필한 「우리 신극운동의 첫 길」(ꡔ조선일보ꡕ…(To be continued )
윤백남은 「연극과 사회」(ꡔ동아일보ꡕ, 1920.5.4~16)에서 연극의 본질, 연극의 필요성... , 한국 근대 연극론의 전개과정예체능레포트 ,
레포트/예체능
윤백남은 「연극과 사회」(ꡔ동아일보ꡕ, 1920.5.4~16)에서 연극의 본질, 연극의 necessity need...
,예체능,레포트






순서
다. 그는 여기에서 연극이 종합예술이라는 것과 그 직접적 감동력을 논술하고는 연극이 지닌 사회적 효용성을 주장한다.
현철은 또 「연극과 오인의 관계」(ꡔ매일신보ꡕ, 1920.6.30~7.3)와 「현당극담」(ꡔ조선일보ꡕ, 1921.1.24~4.21)에서 덕육(德育), 지육(智育), 정육(情育)의 기능으로서의 연극을 강조하고, 「文化(culture) 운동의 급선무로 민중극을 제창함」(ꡔ개벽ꡕ, 1921.3)에서는 민중극을 민중을 제재로 한 극, 민중의 공유물이 되는 극, 민중교화의 극으로 규정하고 연극은 文化(culture) 운동을 위한 민중극이 되어야 할 것을 주장한다.
Download : 한국 근대 연극론의 전개과정.hwp( 18 )
설명
한국 근대 연극론의 전개과정
윤백남은 「연극과 사회」(ꡔ동아일보ꡕ, 1920.5.4~16)에서 연극의 본질, 연극의 necessity , 외국의 연극사, 조선 극단의 현실을 논한다. 그는 이 글에서 근대 극장 운동을 통한 계몽주의적 연극관을 피력하고 번역 시대의 도래와 무대 예술가의 출현을 기대한다. 그는 우선 「소위 근대극에 대하여」(ꡔ학지광ꡕ, 1921.6)에서 근대극의 理論(이론)을 최초로 주장한다. 이와 함께 크레이그(Gordon Craig)의 연극론을 인용하여 연극의 암시성을 강조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