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대로부터 현대로의 구개음화 현상에 대한 고찰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06 10:06본문
Download : 고대로부터 현대로의 구개음화 현상에 대한 고찰.hwp
통시성에 대한 지나친 관심은 언어 현상의 실상이나 양면성을 간과하게 될 수 있으나 이는 본고의 양적 한계와 나아가고자 하는 방향을 고려한 것임을 밝히는 바이다. 통시적, 공시적 측면에서 고어, 표준어, 지방어 등에서 연구되었고 최근엔 구개음화의 제약성이나 규칙화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졌다. 현대국어의 관점에서 본다면 이는 단순한 구개음화의 한 예가 되겠지만, ‘부텨>부쳐>부처’라는 과정에서 일정 기간 /ㅌ/이 그대로 유지되었다는 점을 생각한다면 의문이 남는다. 이들 대다수의 연…(생략(省略))
설명
고대로부터 현대로의 구개음화 현상에 대한 고찰
,인문사회,레포트






순서
레포트/인문사회
Download : 고대로부터 현대로의 구개음화 현상에 대한 고찰.hwp( 19 )
다. 따라서 연구방법에 있어서는 주로 언어의 통시·공시의 양면성 중 통시성 고찰에 주안점을 둘 것이다.
2) 기존 연구 검토 및 비판
구개음화에 대한 연구는 다양한 측면에서 연구되었다. 그러나 가 허락되는 범위 안에서 여러 지역 문헌을 대비함으로써 구개음화의 공시적 고찰 또한 최대한 다루어 볼 것이다. 오늘날과 15세기 당대의 자음의 조음 위치와 조음 방식 등이 동일했다면 왜 구개음화 현상이 바로 적용되지 않았을까? 그리고 그것이 적용되지 않은 몇 세기를 우리는 어떻게 설명(說明)해야 하는가?
현대 국어에서 우리는 대개 ‘ㄷ,ㅌ’이 ‘ㅈ,ㅊ’으로 바뀌는 것이 구개음화 현상이다, 라고 단편적으로 인식하고 있을 뿐이다. 15세기 당시에 ‘부텨(불)’라는 어휘는 한동안 이 표기형을 유지해 오다가 어느 순간에 ‘부쳐’로 바뀌어 표기되기 처음 한다. 그러기 위해 현대국어의 구개음 /ㅈ,ㅊ/에 대한 역사(歷史)적 고찰을 처음 으로 하여 중세로부터 근대로의 구개음화 현상의 혼란된 양상과 그 흐름을 파악함으로써 그것이 현대국어에 정착하게 되기까지의 과정을 살펴볼 것이다. 따라서 그것의 기원과 정착을 좀 더 세부적으로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 본고의 목적이다. 그러나 이러한 구개음화 현상이 오늘날처럼 과거에도 동일하게 음운에 적용된 것은 아니었다.구개음화
고대로부터 현대로의 구개음화 현상에 대한 고찰
고대로부터 현대로의 구개음화 현상에 대한 고찰구개음화 , 고대로부터 현대로의 구개음화 현상에 대한 고찰인문사회레포트 ,
1. 들어가는 말
1) 연구 목적 및 방법, 문제제기
2) 기존연구 검토 및 비판
2. 구개음화 현상의 시대별 고찰
1)고대~전기 중세국어
2)후기 중세국어
3)근대국어
4)현대국어
3. 結論(결론)
현대국어에서 구개음화는 동화 현상의 하나로 본래 구개음이 아닌 ‘ㄷ,ㅌ’ 따위의 자음이 어원적인 /i,y/ 앞에서 구개음 ‘ㅈ,ㅊ’으로 變化(변화)하는 음운현상을 뜻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