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쓰기 online 기말처리해야할문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03-15 15:54
본문
Download : 글쓰기 온라인 기말과제.hwp
(2) 겉잡다/걷잡다
걷잡다
“겉잡다/걷잡다” 모두 올바른 표기 형태이나 ‘걷잡을 수 없이로 쓰일 때에 기본형으로 올바른 표기 형태는 ‘걷잡다이다.
(2) 겉잡다/걷잡다
걷잡다
“겉잡다/걷잡다” 모두 올바른 표기 형태이나 ‘걷잡을 수 없이’로 쓰일 때에 기본형으로 올바른 표기 형태는 ‘걷잡다’이다. ‘창난은 순우리말로 ‘명태의 창자를 뜻한다.
(4) 명난젓/명란젓, 창난젓/창란젓
명란젓, 창난젓
‘명란은 한자어로 ‘명태의 알을 뜻하고, ‘젓은 순우리말로 ‘새우ㆍ조기ㆍ멸치 따위의 생선이나, 조개ㆍ생선의 알ㆍ창자 따위를 소금에 짜게 절이어 삭힌 음식을 뜻한다.
(3) 귀뜸/귀띰/귀띔
귀띔
‘상대편이 알아차릴 수 있도록 미리 일깨워 줌’을 뜻하는 말은 ‘귀띔’이다. ‘처음 청각을 느끼다는 뜻의 ‘뜨이다를 활용해 귀띔으로 말하는 게 맞다. [기말시험 [온라인 평가] 문제]1. 다음 중 올바른 표기 형태를 고르고, 그 이유가 무엇인지 설명하시오.(1) 뒷처리/뒤처리뒤처리‘뒷처리’는 ‘뒤’와 ‘처리’가 결합해서 만들어진 합성어이며 사이시옷은 두 개의 명사가 합쳐져 새로운 말이 만들어질 때, 뒤에 결합하는 말의 첫소리가 된소리가 되거나 ‘ㄴ’ 소리가 덧나는 등의 사잇소리 현상이 있 , 글쓰기 온라인 기말과제기타레포트 , 방통대 온라인 기말과제 글쓰기
[기말시험 [online 평가] 문제]
방통대,,온라인,기말과제,글쓰기,기타,레포트
순서
‘뒷처리’는 ‘뒤’와 ‘처리’가 결합해서 만들어진 합성어이며 사이시옷은 두 개의 명사가 합쳐져 새로운 말이 만들어질 때, 뒤에 결합하는 말의 첫소리가 된소리가 되거나 ‘ㄴ’ 소리가 덧나는 등의 사잇소리 현상이 있






글쓰기 online 기말처리해야할문제
설명
뒤처리
Download : 글쓰기 온라인 기말과제.hwp( 23 )
1. 다음 중 올바른 표기 형태를 고르고, 그 이유가 무엇인지 나태내보시오
(1) 뒷처리/뒤처리
[기말시험 [온 라인 평가] 문제]
1. 다음 중 올바른 표기 형태를 고르고, 그 이유가 무엇인지 설명(說明)하시오.
(1) 뒷처리/뒤처리
뒤처리
‘뒷처리는 ‘뒤와 ‘처리가 결합해서 만들어진 합성어이며 사이시옷은 두 개의 명사가 합쳐져 새로운 말이 만들어질 때, 뒤에 결합하는 말의 첫소리가 된소리가 되거나 ‘ㄴ 소리가 덧나는 등의 사잇소리 현상이 있을 때만 쓰인다. ‘처음 청각을 느끼다’는 뜻의 ‘뜨이다’를 활용해 귀띔으로 말…(To be continued )
레포트/기타
다.
[기말시험 [온 라인 평가] 문제]
1. 다음 중 올바른 표기 형태를 고르고, 그 이유가 무엇인지 설명(說明)하시오.
(1) 뒷처리/뒤처리
뒤처리
‘뒷처리’는 ‘뒤’와 ‘처리’가 결합해서 만들어진 합성어이며 사이시옷은 두 개의 명사가 합쳐져 새로운 말이 만들어질 때, 뒤에 결합하는 말의 첫소리가 된소리가 되거나 ‘ㄴ’ 소리가 덧나는 등의 사잇소리 현상이 있을 때만 쓰인다.
(3) 귀뜸/귀띰/귀띔
귀띔
‘상대편이 알아차릴 수 있도록 미리 일깨워 줌을 뜻하는 말은 ‘귀띔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