몰트만 (J. Moltmann)의 기독론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26 18:32본문
Download : 몰트만 (J Moltmann)의 기독론.hwp
그리고 자신의 긍정적인 것을 제시하기 위하여 프로이드의 종교비판을 부정적인 것의 부정으로 받아들이는 것은 신학적으로 정당하다.
심리요법과 신학 사이의 대화 형태로 기독교 신앙은 프로이드가 “종교의 풍자화”라고 비판했던 것과 동일시 될 수 있다아 프로이드는 종교를 노이로제와 동일시하는 것이 아니라 노이로제 가운데서 종교의 “이지러진 상”을 인식했던 것이다. 프로이드의 꿈의 동기는 소원에 있다고 하고, 억압된 소원과 욕망은 꿈속에서 성희를 추구한다고 …(To be continued )
다.몰트만은 『십자가에 달리신 하나님』에서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와 부활을 통한 구원과 해방의 차원들을 심리적인 차원과 정...
%EC%9D%98%20%EA%B8%B0%EB%8F%85%EB%A1%A0_hwp_01.gif)
%EC%9D%98%20%EA%B8%B0%EB%8F%85%EB%A1%A0_hwp_02.gif)
%EC%9D%98%20%EA%B8%B0%EB%8F%85%EB%A1%A0_hwp_03.gif)
%EC%9D%98%20%EA%B8%B0%EB%8F%85%EB%A1%A0_hwp_04.gif)
%EC%9D%98%20%EA%B8%B0%EB%8F%85%EB%A1%A0_hwp_05.gif)
%EC%9D%98%20%EA%B8%B0%EB%8F%85%EB%A1%A0_hwp_06.gif)
순서
C. 해방의 차원들몰트만은 『십자가에 달리신 하나님』에서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와 부활을 통한 구원과 해방의 차원들을 심리적인 차원과 정... , 몰트만 (J. Moltmann)의 기독론의약보건레포트 ,
Download : 몰트만 (J Moltmann)의 기독론.hwp( 82 )
레포트/의약보건
,의약보건,레포트
설명
C. 해방의 차원들
몰트만 (J. Moltmann)의 기독론
C. 해방의 차원들
몰트만은 『십자가에 달리신 하나님』에서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와 부활을 통한 구원과 해방의 차원들을 심리적인 차원과 정치적인 차원에서 전개하였다.
기독교 신앙은 하나님의 열정과 십자가에 달리신 자와의 형제관계에 있다아 그러나 그것은 동시에 실제로 구체적인 권위와 속죄의 종교들 가운데 존재하고 있는데, 프로이드는 이 종교들의 외디푸스적인 구조를 적절히 分析하였다. 그러나 『예수 그리스도의 길』에서 그는 실존적 歷史(역사)적 인간 해방의 차원을 넘어서서 생태학적인 관점에서 우주적인 차원의 구원과 화해를 展望하고 있다아 여기서는 해방의 심리적, 정치적인 차원만을 살펴보고, 자연적, 우주적인 차원의 해방은 다음 장들에서 살펴보기로 한다. 프로이드의 종교 비판은 단지 더 나은 비판적인 자기이해를 돕는 보조 학문으로서만 기독교 신앙을 도와서는 안되고 그의 정신分析은 또한 해방케 하는 힘을 전개할 수 있는 심리학적인 가능성을 보여 주어야 한다.
우리가 인간학을 위해 십자가에 달리신 하나님의 신학의 결과를 고찰할 때, 신학적 인간학의 독백 가운데서가 아니라 다른 인간상들과의 대화 가운데 이루어져야 하며, 따라서 인간 해방의 발자국을 찾고 그 자국을 증빙할 때 스스로 환자를 치료하고자 하는 인간학적인 학문과의 대화가 이루어지게 되는데 특히 프로이드의 심리 分析이 중요하다. 그러므로 신앙을 미신 가운데 있는 병리학적 이중 과definition 파괴로부터 해방시키기 위해 프로이드의 비판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이는 것이 적합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