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산사와 경기전 및 객사 답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07 15:11본문
Download : 금산사와 경기전 및 객사 답사.hwp
Download : 금산사와 경기전 및 객사 답사.hwp( 99 )
전라북도 김제 금산사와 조선왕조의 본향인 전주의 경기전과 객사일대를 답사하고 그를 바탕으로 답사보고서를 작성한 레포트입니다.금산사와경기전답사 , 금산사와 경기전 및 객사 답사기타레포트 ,
순서
,기타,레포트
금산사와 경기전 및 객사 답사






설명
레포트/기타
금산사와경기전답사
♦목차♦
Ⅰ.조사지역선정과 그 주제
Ⅱ.조사방법 및 절차
Ⅲ. 조사내용 정리(arrangement)
Ⅲ-Ⅰ.금산사와 미륵신앙
Ⅲ-Ⅱ.경기전과 객사일대의 전통 읍치 경관
Ⅳ.맺음말
또한 마을풍수에서 좌향과 비보가 중요하듯이 읍성풍수에서도 좌향과 비보풍수를 중시하였는데 전주의 풍수좌향은 사신도로 설정되어 있다 즉 동쪽으로는 기린, 남쪽으로는 봉황, 서쪽으로는 용, 북쪽으로는 거북을 두었다.
마지막으로 전주의 비보풍수에 대하여 알아보겠는데 앞에서 언급했던 수구막이 숲정이 숲과 함께 덕진연못, 그리고 진북동의 비보사찰 및 비보석불 등을 들 수 있겠다. 또한 전주의 북서쪽이 허결하여 전주의 지덕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만든 덕진연못도 비보풍수의 한 예라고 할 수 있겠다. 먼저 금산사에서는 왜 금산사가 미륵신앙의 중심이라고 불리워지게 되었는지 그 이유를 알 수 있었고 경기전과 객사일대를 중심으로 전주의 전통 읍치경관을 답사하며 내가 사는 전주의 곳곳에 숨겨져 있는 장소의 의미를 깨닫게 되었으며, 이러한 지식을 바탕으로 왜 일제 침략기에 Japan인들이 경기전에 소학교를 세우고 오목대와 이목대를 절단냈으며 심지어 용머리 고개를 절단 내어 길을 내고, 객사의 동익헌을 없애고 길을 냈는지 좀 더 깊이 생각해 볼 계기도 갖게 되었다.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이 진북동은 북쪽을 진호하는 풍수지리 지명이며, 전주 읍성의 북쪽을 진호하는 사찰인 진북사와 사면석불가운데 북면불이 조성되어 있으며, 진북사 건너편에는 숲정이라는 비보숲이 있었다.
Ⅳ. 맺음말
이 답사를 통하여 그동안 무심코 지나쳐왔던 내 고장의 장소 곳곳에 알지 못했던 의미들이 있었음을 알게 되었다. 끝으로 이번 답사를 통하여 얻은 것이 많은 만큼 앞으로도 더 많은 답사를 통하여 그 동안 무심코 지나쳐왔던 장소에 숨겨진 의미를 파악함으로써 좀 더 깊이 …(To be continued )
다. 고구려 고분벽화에 나타나는 사신도에서 백호가 기린으로 대체되었을 뿐 각 방위에 따른 영물의 배치가 명확하다.
전라북도 김제 금산사와 조선왕조의 본향인 전주의 경기전과 객사일대를 답사하고 그를 바탕으로 답사보고서를 작성한 레포트(report) 입니다. 여기서 좀 더 자세히 그 사신들의 흔적을 알아보자면 동쪽의 기린봉, 그리고 현재 효자동 근처로 추정되는 남쪽의 봉황암, 또 서쪽의 용머리고개, 마지막으로 북쪽의 금암동 KBS방송국 근처의 거북바위를 들 수 있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