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리experiment(실험)] [융일] 일반물리experiment(실험) 보고서 : 공명튜브 Resonance Tube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7 21:03본문
Download : Mechanical Energy Conservation.hwp
폐관(L=90cm) 에서도 개관에서와 마찬가지로 표를 그려서 오차를 구해보았다.
- Gyroscope
5. analysis(분석)
순서
4. 대학물리학 (해리스 벤슨, 청문각)
(2) 튜브에서의 정상파 (L=40cm)
아래는 보고서 목록입니다. 대부분의 데이터의 경우에 theory(이론)값이 측정(測定) 값보다 크게 나온 것을 알 수 있다. 實驗(실험)을 진행할 때 계속해서 시끄러운 소리가 났었는데 이것은 스피커가 관에 완벽히 밀착되지 않아 진동하기 때문이었다. 이에 대해 Discussion 에서 더 알아보았다. 오차는 5% 이상인 것들이 있었지만 여러 오차들의 크기가 비슷한 것으로 보아 측정(測定) 값을 작게하는 어떠한 요인이 있다고 생각되었다. 하지만 이번 實驗(실험)은 實驗(실험) 장비의 속성 상 여러가지 實驗(실험) 외에 고려할 사항이 많았다. 이 보정의 크기 는 관의 굵기와 모양에 따라 다르나 직경 d인 원통형의 관의 경우에는....
2. theory(이론)적 배경
7. Reference
표에서 구한 소리의 속력들을 모두 average(평균)을 낸다면 331.09(m/s)가 나온다. - Two-Dimension Motion - Resonance Tube - Projectile Motion - Pendulum Motion - Moment of Inertia - Mechanical Energy Conservation - Gyroscope - Free Fall - Forced Harmonic Oscilliation - Adiabatic Gas Law [참고자료] 1. KAIST General Physics Laboratory Ⅰ Spring Semester 2009 2. Jearl Walker Fundamentals of Physics Extended 8th Ed. 3. Essential University Physics (Richard Wolfson, PEARSON) 4. 대학물리학 (해리스 벤슨, 청문각) 5. Instruntion manual and Experiment guide for the pasco
- Pendulum Motion
한국과학기술원(KAIST) 일반물리학experiment(실험) A+ 보고서입니다.
- Moment of Inertia
개관(L=90cm) 에서 공명진동수는 , ... 이므로 1)소리의 속력(341.56 m/s)를 대입하여 각각의 경우에 대해 공명진동수를 계산한 값과 2)실제로 측정(測定) 한 값을 비교해보면 아래 표와 같다.
(1) 관구 효과(效果)
1. 實驗(실험)목적
(1) 튜브의 공명진동수
융일 로 검색하시면 다른 일반물리experiment(실험) 보고서들도 찾으실수 있습니다. 만약 實驗(실험)이 정확하다면 에서 實驗(실험)실 온도가 1.5℃라는 conclusion(결론)이 나온다.
- Projectile Motion
(1) 튜브의 공명진동수
- Mechanical Energy Conservation
6. Discussion
4. 결과
※본문일부
(2) 튜브에서의 정상파 (L=40cm)
- Adiabatic Gas Law [참고reference(자료)] 1. KAIST General Physics Laboratory Ⅰ Spring Semester 2009
- Forced Harmonic Oscilliation
- Resonance Tube
이번 實驗(실험)을 통해 관 내에서의 공명진동수를 잘 알 수 있었다. 공명진동수 식은 ...이다. 아래는 보고서 목록입니다.
(3) 쿤트의 實驗(실험)
6. Discussion
(2) 오실로스코프 출력
3. 實驗(실험) 방법





공명,공명 진동,공명 튜브,쿤트의 실험,카이스트,공명진동수,융일
측정(測定) 할 때 n=1 인 경우는 너무 진동수가 작아서 정확히 측정(測定) 하지 못했다. 따라서 보정을 해주게 되는데 끝 보정 인자는 대개 0.55 ∼ 0.85로 한다.
다. 융일 로 검색하시면 다른 일반물리실험 보고서들도 찾으실수 있습니다. 관의 끝부분에서 음파의 행동이 주파수와 관의 직경과 관계가 있다....
(4) 소리의 속력
※목차
5. Instruntion manual and Experiment guide for the pasco
레포트 > 자연과학계열
Download : Mechanical Energy Conservation.hwp( 91 )
모든 결과들에서 측정(測定) 값이 theory(이론)값보다 작게 나온 것을 알 수 있었다.
(3) Resonant Mode
대부분의 데이터의 경우에 theory(이론)값이 측정(測定) 값보다 크게 나오는데 스피커가 있는 곳에서 ‘관구효과(效果)’가 발생했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된다.
- Two-Dimension Motion
(1) 관구 효과(效果)
(4) 오차 원인
[물리experiment(실험)] [융일] 일반물리experiment(실험) 보고서 : 공명튜브 Resonance Tube
2. Jearl Walker Fundamentals of Physics Extended 8th Ed.
- Free Fall
3. Essential University Physics (Richard Wolfson, PEARSON)
오실로스코프에서의 입력과 실제 波動이 나타내는 모습은 반대로 나타난다. 여기서 얻은 데이터를 바탕으로 波動을 나타내면 아래와 같다.
설명
한국과학기술원(KAIST) 일반물리학실험 A+ 보고서입니다. (여기서 max, min 은 최대, 최소가 아닌 극대, 극소점을 의미한다. 따라서 min, max 로 각각 적은 부분은 波動으로 표시했을 때 반대로 max, min을 나타낸다. 따라서 ‘끝 보정’을 하면 조금 더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