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과 철학 - 육왕심학에 대상으로하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6 17:36본문
Download : 삶과 철학 - 육왕심학에 대해서.hwp
삶과 철학 - 육왕심학에 대상으로하여
- 육왕심학 -
왕양명은 (왕수인(王守仁))
‘致知’대신 ‘致良知’ 주장
상산(본명 육구연(陸九淵))은
심즉리(心卽理)는 맹자의 학 계승
心은 理와 같은 보편적 진리
삶과 철학 - 육왕심학 - 상산(본명 육구연(陸九淵))은 ‘宇와 宙’자 보고 깨달음 경험 心은 理와 같은 보편적 진리 왕양명은 (왕수인(王守仁)) 심즉리(心卽理)는 맹자의 학 계승 ‘致知’대신 ‘致良知’ 주장
설명
삶과 철학 - 육왕심학에 대해서
다. 그 하나는 정이(程, 1032~1085)와 주희(朱熹, 1130~1200)의 가르침을 근간으로 하는 정주학(程朱學) 혹은 이학(理學)이고, 다른하나는 정호(程顥, 1033~1108)가 처음 하고 육상산(陸九淵, 象山, 1139~1193)이 터를 닦고, 왕양명(王守仁, 陽明, 1473~1529)이 완성한 육왕학(陸王學), 양명학(陽明學) 혹은 심학(心學)이었다.





삶과 철학
Download : 삶과 철학 - 육왕심학에 대해서.hwp( 56 )
순서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宇와 宙’자 보고 깨달음 경험
신유학(新儒學)에는 두 갈래 큰 흐름이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