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 물리실험- 관성모멘트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4 04:38본문
Download : 일반 물리실험- 관성모멘트.hwp
실험3을 할 때 한번 추가 바닥에 도달한 후 실을 감아 다시 실험해야했다. 조교님이 갈켜준대로 하니 금방금방 experiment(실험)을 끝낼 수 있었다.





관성모멘트,관성
관성모멘트 실험을 했다. m1+m2와 기울기는 0.76차이가 난다. 오차 퍼센트가 말도 안되게 크게나와 확인해보니 수평막대만을 이용하여 시간을 측정(measurement)한 t0를 잘못재서 그런 것이였다.
Download : 일반 물리실험- 관성모멘트.hwp( 67 )
실이 잘못 감긴 것을 알고 다시 experiment(실험)하였다. 비디오와 조교님의 조언으로 experiment(실험)은 그다지 어렵지 않았다. 이 experiment(실험)에서 오차가 난 이유를 추정해보면 도르래와 실의 마찰, 추가 내려올 때 공기의 저항 이다. 대학물리 시간에 이론으로 배운 관성모멘트를 실험으로 직접 해서 신기했다. t0를 다시 잰 뒤 다시 확인해보니 오차가 훨씬 적게 나왔다. 대학물리 시간에 theory 으로 배운 관성모멘트를 실험으로 직접 해서 신기했다. 중간에 오차가 너무 많이나길래 의아해했는데 이유는 실이 풀린 추를 다시 감아올릴때 실이 원래자리가 아닌 다른부분에 감겨져서 다음 experiment(실험)할때 시간이 이상하게 나왔던 것이었다. 좋은 experiment(실험)이었다. 2. 이번 experiment(실험)은 상당히 긴 experiment(실험)이었다. 모든 experiment(실험)을 마친 뒤 experiment(실험)1의 관성모멘트 값을 계산하였다.
순서
위 그래프의 추세식은 y=547.6X-2216m1+m2는 536.6 이고 기울기는 547.36 이다. 그런부분 때문에 했던experiment(실험)을 몇번 한게 있어서 시간이 더오래 걸린것 같다. 이때 실이 원래 실험했던 회전축보다 더 큰 회전축에 잘못 감겨 시간 t가 원래 값보다 낮게 나오기도 했다. 조원들이 모두 참여해 오차를 줄일 수 있었고 experiment(실험)도 빨리 끝낼 수 있었다.→ m1+m2와 기울기의 값은 거의 비슷하다고 할 수 있다아
관성모멘트 실험을 했다. 3. 이번experiment(실험)은 experiment(실험)할것도 많고 계산할것도 많은 시간이 오래걸리는 experiment(실험)이었다. 실험3을 할 때 한번 추가 바닥에 도달한 후 실을 감아 다시 실험해야했다.
설명
레포트 > 자연과학계열
일반 물리실험- 관성모멘트
다. 이때 실이 원래 실험했던 회전축보다 더 큰 회전축에 잘못 감겨 시간 t가 원래 값보다 낮게 나오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