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 3학생독립운동의 정치사상적 배경 - 1920년대 중후반 학생운동의 양상과 학생운동론 -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23 04:07본문
Download : 11 3학생독립운동의 정치사상적 배경 - 1920년대 중후반 학생운동의 양상과 학생운동론 -.hwp
그러나 1921년 7월 보성전문학교와 중앙학교를 비롯한 당시 서울의 7개교 교장회의는 중등학생의 탈퇴를 결의, 전문학교 이상의 학생들만 학생대회에 참여토록 허용함으로써 이후 이 단체는 유명무실한 단체로 전락해버리게 되었다. 조선학생대회는 서울시내의 학생들이 중심이 되고 전국 각 지방출신의 재경학생 8백여명이 참여하여 조직한 것으로, ①조선학생의 친목과 단결을 도모함, ②조선물산의 장려, ③지방열 타파 등을 내걸고 있었다. 조선학생회는 “① 조선학생의 단결을 도모하고 학생문제의 해결을 기함, ② 학생 상호간의 선도와 친목을 기함”을 헌장으로 내걸고 있었는데, 이는 이 단체의 성격도 역시 ‘조선학생대회’와 크게 다르지 않음을 말해주는 것이다.
11 3학생독립운동의 정치사상적 배경 - 1920년대 중후반 학생운동의 양상과 학생운동론 -






순서
,인문사회,레포트
Download : 11 3학생독립운동의 정치사상적 배경 - 1920년대 중후반 학생운동의 양상과 학생운동론 -.hwp( 63 )
5. 학생운동 지도부와 학생운동론
설명
레포트/인문사회
5. 학생운동 지도부와 학생운동론 3·1운동 이후 1920년대초 새로이 전개된 ‘문화운동’의 분위기하에서 학생들도 나름의 조직을 갖고 ... , 11 3학생독립운동의 정치사상적 배경 - 1920년대 중후반 학생운동의 양상과 학생운동론 -인문사회레포트 ,
3·1운동 이후 1920년대초 새로이 전개된 ‘문화운동’의 분위기하에서 학생들도 나름의 조직을 갖고 ...
5. 학생운동 지도부와 학생운동론
3·1운동 이후 1920년대초 새로이 전개된 ‘culture운동’의 분위기하에서 학생들도 나름의 조직을 갖고 이 ‘culture운동’의 대열에 참여하고자 하였다. 1920년 5월 조직된 ‘朝鮮學生大會’가 바로 그것이었다.그러나 1923년 물산장려운동에 관한 사회주의자와 부르조아민족주의자들간의 논쟁, 전조선청년당대회의 개최 등을 계기로 기존 민족운동계가 본격적인 분화과정에 들어가게 됨에 따라 학생운동계도 이에 effect(영향) 을 받으면서 분화과정에 들어가게 된다 그러면 1920년대 중반 이후 사회주의운동과 학생…(省略)
다.
이에 1922년말부터 전문학교 학생들을 중심으로 새로운 학생단체를 조직하려는 움직임이 스타트되어 1923년 2월 ‘조선학생회’가 새로이 창립되었다. 한편 1924년 9월 조선학생회와 그 성격이 크게 다르게 보이지 않는 ‘조선학생총연합회’가 일부 전문학교 학생들에 의해 조직되었다가 분파주의적인 행동이라고 비난을 받고 곧 그 활동이 위축되어 버리는 모습을 보이기도 하였다. 이는 이 단체가 과거의 지방단위 학우회 및 친목회의 분산성을 극복하고 학생층의 구심점을 형성하기 위해 조직된 것으로서, 물산장려운동을 core으로 하는 ‘culture운동’을 전개하고 있던 부르조아민족주의계열의 성향을 띠고 있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