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로호 정상궤도 진입 실패]페어링 분리 안됐기 때문에 실패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8 06:00
본문
Download : 090827104240_.jpg
고흥=권건호기자 wingh1@etnews.co.kr
교과부는 이번 한러 공동조사위원회의 조사 결과를 객관적으로 검증하고, 성공적인 재발사를 위해 政府 차원의 나로호 발사 조사위원회를 구성해 오는 28일 1차 회의를 개최할 계획이다.
한국 첫 우주발사체 나로호(KSLV-Ⅰ)의 목표(goal)궤도 진입 실패는 위성을 보호하기 위해 덮고 있는 페어링의 한쪽이 분리되지 않은 것 때문으로 analysis됐다. 보안 등의 문제가 있어 비보도를 전제로 공개한 이 사진에는 1단 분리, 2단 점화, 위ingredient리 등의 사진이 분명하게 찍혔으며, 페어링 한쪽이 분리되지 않은 사진도 찍혔다.
설명
순서
[나로호 정상궤도 진입 실패]페어링 분리 안됐기 때문에 실패
국내 연구진은 전 세계 위성을 추적, observation하는 북미 航空 방위사령부(노라드)를 이용해 위성 추적을 시도해봤으나 노라드 측으로부터 궤도 진입이 안 돼 등록이 안 된다는 답변을 받았다.
[나로호 정상궤도 진입 실패]페어링 분리 안됐기 때문에 실패
한편 26일 호주 다윈시 인근에 나로호 2단 킥모터의 일부로 추정되는 미확인 물체가 낙하한 것으로 확인돼 政府가 조사에 나섰다.
[나로호 정상궤도 진입 실패]페어링 분리 안됐기 때문에 실패





나로호에 탑재된 과학기술위성 2호는 궤도진입을 위한 속도인 초속 8㎞보다 낮은 초속 6.2㎞에 그쳐 공전궤도에 진입하지 못하고 지구로 낙하하면서 대기권에서 소멸된 것으로 추정된다
레포트 > 기타
다.
교신을 기대했던 위성은 지구로 낙하하면서 대기권에서 소멸한 것으로 추정되며, 2단 로켓의 일부로 추정되는 물체가 호주 최북단 다윈시 인근에서 발견됐다. 항우연은 위성을 개발한 KAIST 연구진을 호주로 보내 확인작업을 벌일 계획이다.
교과부는 페어링을 제외한 모든 부분이 성공적으로 작동했음을 보여주기 위해 과학기술위성 2호에 장착된 2대의 카메라로 촬영한 영상의 일부를 언론에 공개했다.
[나로호 정상궤도 진입 실패]페어링 분리 안됐기 때문에 실패
교육과학기술부 김중현 제2차관은 26일 브리핑에서 “한·러 공동조사위원회인 비행시험위원회 조사 결과 나로호 발사 과정에서 1단과 2단 분리, 위성 분리는 성공했지만 페어링 분리 이상으로 위성궤도 진입에 실패한 것으로 analysis된다”고 밝혔다. 2단이 정상적인 추진력을 얻었다면 지구로 낙하하지 않고 지구 궤도상을 돌게 돼 있었다. 특히 이곳에서의 결론에 따라 러시아가 이번을 실패로 규정하고 두 index 로켓을 제공할지, 아니면 성공으로 간주해 한 index 로켓을 제공할지가 결정되는 만큼 양국 간의 치열한 신경전이 예상된다
Download : 090827104240_.jpg( 74 )
항우연 관계자는 “2단 킥모터의 노즐 부분은 3000도의 온도에서도 타지 않는 카본 소재로 만들어져 남아있을 가능성이 크다”고 설명(explanation)했다.
김 차관은 “2단 로켓이 점화는 됐지만 탑재된 과학기술위성 2호의 네 배의 무게가 나가는 한쪽 페어링이 그대로 남아 있는 바람에 충분히 속도를 낼 수 없었다”며 “그 때문에 정상궤도에 진입하지 못하고 (위성이) 대기권으로 떨어진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explanation)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