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ㆍ칠레 FTA 1년 평가와 향후 해결해야할문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30 14:23
본문
Download : 『한ㆍ칠레 FTA 1년 평가와 향후 과제』.hwp
레포트/경영경제
,경영경제,레포트
『한ㆍ칠레 FTA 1년 평가와 향후 해결해야할문제』
순서
『한ㆍ칠레 FTA 1년 평가와 향후 과제』에 대한 자료입니다. 한국의 첫 번째 FTA 상대국은 칠레로 결정되었다. 『한ㆍ칠레FTA1년평가와향후과제』 , 『한ㆍ칠레 FTA 1년 평가와 향후 과제』경영경제레포트 ,
『한ㆍ칠레 FTA 1년 평가와 향후 해결해야할문제』에 대한 입니다. FTA 발효 이후(2004년 4월~2005년 2월) 對칠레 교역 실태을 살펴보면, 수출은 7.4억 달러로 전년동기대비 58.6% 증가하였고, 수입은 17.5억 달러로 전년동기대비 54.3% 증가하여 무역수지는 10.2억 달러 적자를 기록하였다. FTA움직임에 뒤처지면 무역상에서 손해를 보게 되다. FTA 발효 초기(2004년 4~8월)에는 수입증가율(89.9%)이 수출증가율(37.9%)보다 매우 높았으나, 점차 수입증가율은 감소하고 수출증가율은 증가되는 추이를 나타내고 있다
對칠레 수입의 경우, 국제원자재가격 상승이 수입 증가의 주요 Cause 이 되었으며, 칠레와의 FTA 논의 당시 우려되었던 농수산품의 수입 급증과 그에 따른 피해는 아직까지 나타나지 않고 있다 대칠레 수입에서 농수산품의 비중(FTA 발효 이후 약 6.9%)이 작고, 대부분이 단계적 철폐 품목이기 때문에 아직까지는 완만한 수입 증가 양상을 나타냈다. 단, 삼겹살, 포도주 등은 수입비중이 상대적으로 크면서 FTA 발효 이후 수입증가율이 높게 나타난 품목인데, 삼겹살(10년철폐)은 관세인하(26.2%→…(생략(省略))



설명
Download : 『한ㆍ칠레 FTA 1년 평가와 향후 과제』.hwp( 84 )
『한ㆍ칠레FTA1년평가와향후해결해야할문제』
다. 무역이 발전하지 못하고 세계에서 지위가 확고하지 못한 칠레가 선정된 이유는 우리나라는 처음으로 처음 하는 FTA인 반면, 칠레는 이미 많은 국가와 FTA을 맺고 있고, 우리나라가 피해를 가장 적게 받을 수 있는 국가(이익극대화 보다 피해최소를 위해)라고 여겨졌기 때문일것이다 칠레로 선정 후, 협상까지 3년이 걸리고 국회 비준이 1년 걸려서 2004년 발효되었다. 그 당시 한국과 日本 이 FTA에서 가장 뒤처지고 있었다. FTA는 두 국가(세국가간) 무역자율화를 하는 것이고 이외의 국가에는 差別화가 존재하는 의미를 가진다.
※ 1999년 우리나라는 FTA 정책을 결정하였다.
1. 한·칠레 FTA 발효 후 교역동향
많은 기대와 우려 속에 지난 2004년 4월 1일 한국·칠레 FTA가 발효, 2005년 3월 말로 1년이 경과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