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유와경영]소유와경영의분리의장단점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01 19:56
본문
Download : [소유와경영]소유와경영의분리의장단점.hwp
이른바 샐러리맨 사장으로 불리는 고용경영자의 기용으로 소유자의 직접관리는 간접관리로 이행하여 소유자는 경영면에서 후퇴하였다. 이 경우 대주주가 과반수의 주식을 소유함으로써 경영을 지배하는 것을 과반수지배(majority control)라고 한다. 이것을 주식의 부재소유제라고 한다.
이와 같이 경영규모의 확대에 따라 주식의 분산이 고도화됨과 함께 관리기구가 방대 · 복잡해져서 경영의 전문적 지식이 필요하게 됨으로써, 소유자가 고용경영자에게 경영을 대행시키게 되었다. 기업의 foundation자가 거대기업을 형성했을 때에는 과정이야 어떠했든 상당한 자질을 갖추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foundation자가 은퇴한 후에 foundation자가 축적해 놓은 기업자산의 경영자를 직계자손 내에서만 선출한다면, 직계자손을 포함하여 많은 전문경영인 중에서 선출하는 것보다 성공확률은 낮아지게 된다된다. 거대기업의 경영에 필요한 지식과 기술은 결코 쉽게 정이될 수 있는 것이 아니기에, 황태자교육을 반드시 불합리하다고 볼 수 없다는 것이다. 이러한 Smith의 통찰은, 비록 경영자의 목표(目標)가 무엇인지는 확실히 analysis(분석) 하지는 않았지만, 대리인 비용이라는 정이 을 통해 기업의 활동을 설명(說明)하는 새로운 분야를 열었다.
미국 IBM이라는 기업의 foundation주와 2세 간의 세습을 예를 들 수 있다 젊었을 때는 방탕한 생활로 부친의 질타를 받았던 2세가 군복무를 마치고부터는 부친을 능가하는 경영인으로 탈바꿈하는 과정이었다.
따라서 대규모 기업의 자산을 사유재산 차원을 넘는 국가의 중요한 자산으로 인식하고, 이 자산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소유와 경영의 분리가 반드시 필요하다는 것이 재벌 총수의 경영을 비판하는 논리이다. 이 후 이 대리인 비용의 정이 은 Holmstrom 등의 경제학자들에 의해서 Principal-Agent 문제로 구체화되어 경영자의 자발적인 노력을 유도하기 위한 성과급체계의 설립, 아웃소싱理論(이론) 등 기업의 조직理論(이론)으로 발
기업이 지속적으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자질 있는 경영자가 경영을 맡아야 한다. 그러나 IBM의 2세는 자신이 물러나면서 스스로 전문경영인시대를 열었다는 점이 흥미롭다.
전문경영자의 출현으로 회사의 소유자지배는 경영자지배(management control)로 전환하였다. 이러한 문제를 중시한 윗 글에서는 아예 재벌을 `특정 개인과 그 가족이 소유를 바탕으로 지배권을 행사하는 대규모의 기업집단`으로 정이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실제로 많은 2세들이 선친이 이룩해 놓은 가업을 계승 · 발전시키지 못하였음을 기억할 때 이러한 비판은 일리가 있다 그러나 항상 그렇지는 않다. 한국의 재벌 2세 중에서도 그러한 사람들이 째 있다는 소식이고 보면 이러한 방식의 전문경영인 육성이 결코 불합리한 것만은 아니라고 생각된다된다. 주주총회에서는 부재소유자의 백지 위임장을 모으면 의결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소수지배(minority control)라고 한다. 반대로 foundation자의 기업을 훌륭하게 계승하고 오히려 기업을 더 번창하게 만드는 2세도 많음에 비추어 볼 때 어떤 규칙성을 체계화한 주장으로 볼 수 없다. 단지 상대적인 의미만을 지니고 있을 뿐이다.
기업理論(이론)의 주요한 가정은 `기업의 이윤극대화`라 할 수 있다 즉, 기업은 투입물(자본재, 노동력 등)을 이용하여 재화를 만드는데, 이러한 활동은 모두 이윤을 극대화하는데 그 목적
이 있다는 것이다.
레포트/경영경제
Download : [소유와경영]소유와경영의분리의장단점.hwp( 71 )
설명
[소유와경영]소유와경영의분리의장단점
[소유와경영]소유와경영의분리의장단점[소유와경영]소유와경영의분리의장단점 , [소유와경영]소유와경영의분리의장단점경영경제레포트 ,
순서
,경영경제,레포트
[소유와 경영] 소유와 경영의 분리의 장단점
소유와 경영
1. 소유와 경영의 분리의 장점(長點)
초기회사 형태에서는 1인 또는 몇 명의 자본가가 회사의 전 자본을 소유하며 직접 경영도 맡고 있었는데, 이 형태를 소유자지배(owner control)라고 한다. 또한 경영규모의 확산, 생산기술의 향상, 판매경쟁의 격화 등으로 관리 기구는 더 한층 팽창되고 복잡해져서 전문경영자가 필요하게 되었다.
다른 나라와 비교할 때 한국에서 전문경영인의 비율이 낮은 것을 비평하는 시각도 있다 그러나 각 국의 history(역사) 적 배경이 다르기 때문에 그 절대비…(skip)
[소유와경영]소유와경영의분리의장단점
![[소유와경영]소유와경영의분리의장단점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6%8C%EC%9C%A0%EC%99%80%EA%B2%BD%EC%98%81%5D%EC%86%8C%EC%9C%A0%EC%99%80%EA%B2%BD%EC%98%81%EC%9D%98%EB%B6%84%EB%A6%AC%EC%9D%98%EC%9E%A5%EB%8B%A8%EC%A0%90_hwp_01.gif)
![[소유와경영]소유와경영의분리의장단점_hwp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6%8C%EC%9C%A0%EC%99%80%EA%B2%BD%EC%98%81%5D%EC%86%8C%EC%9C%A0%EC%99%80%EA%B2%BD%EC%98%81%EC%9D%98%EB%B6%84%EB%A6%AC%EC%9D%98%EC%9E%A5%EB%8B%A8%EC%A0%90_hwp_02.gif)
![[소유와경영]소유와경영의분리의장단점_hwp_03.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6%8C%EC%9C%A0%EC%99%80%EA%B2%BD%EC%98%81%5D%EC%86%8C%EC%9C%A0%EC%99%80%EA%B2%BD%EC%98%81%EC%9D%98%EB%B6%84%EB%A6%AC%EC%9D%98%EC%9E%A5%EB%8B%A8%EC%A0%90_hwp_03.gif)
[소유와경영]소유와경영의분리의장단점
다.
그러나 경영규모의 확대와 자금수요의 증대로 자본은 널리 다수의 투자가에게 의존하게 되었다. 요는 이러한 회사의 경영인들은 자신의 자본만이 아닌 타인의 자본도 관리하고 있으므로, 투자자들을 위해서 자신의 일처럼 열심히 일하기를 기대하는 것은 힘들 것이라는 것이다.
전문경영자는 출자자일 필요는 없으며, 기업경영의 자질 · 능력 · 기술 · 경험을 갖추었기 때문에 경영자의 지위에 있는 사람이므로, 출자자의 이해를 무시하는 경영상의 결정은 하지 않지만 출자자의 지배를 받지 않는 경영자이다. 이러한 단순한, 광의로 보면 틀리지 않는 가정에 대한 비판은 A. Smith
의 국부론 중 파트너십회사(joint stock company)에 대한 고찰(Smith, A., The wealth of nations(1776), p.741 Glasgow Edition, 1979)에서 처음으로 제기되었다.
그 후 주식분산의 고도화와 부재소유자의 증대에 의해 전주식의 과반수를 소유하지 않더라도 회사의 지배가 가능하게 되었다. 이에 응모한 주주의 대부분은 주식의 배당 또는 매매차익에 의한 이식이 목적이지, 경영참가에 뜻이 있는 것은 아니었기 때문에 경영은 대주주인 경영자에게 위임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