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 세기(世紀) 우리박물관이 나아갈 방향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3 11:48
본문
Download : 21세기 우리박물관이 나아갈 방향.hwp
물론 종합박물관의 경우 다양한 유물과 문화재를 볼 수 있다는 점에서 큰 advantage(장점) 을 가진다. 그러나 자세히 들어다보면 그 실상은 큰 차이가 있따 대체적으로 다른 나라에서는 종합박물관에 비해 특수박물관 ․ 미술관이 증가추세인데 반해 한국은 특수박물관 ․ 미술관의 증가추세 못지않게 종합박물관 또한 수와 규모가 커져가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한국이라는 공간의 규모와 지역적 특색, 중앙집권정책 특징 등을 고려 할 때 전국의 국 ․ 공립박물관은 그 특색을 표출하기는 어렵다. 항상 장엄하고 웅장한 공간에서 전시하는 것보다, 또한 눈에 의해서만 습득되어지는 것보다 자유롭고 편하며, 오감에 의해 더욱 쉽고, 올바르게 접근할 수 있는 그런 공간의 필요하다.
3. 추진목적
21세기 우리박물관이 나아갈 방향,박물관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1. 주제 명칭
21 세기(世紀) 우리박물관이 나아갈 방향
1. 주제 명칭 21세기 우리박물관이 나아갈 방향 2. 추진개념
설명





현재 전 세계의 박물관 ․ 미술관 숫자는 계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따 이는 비단 한국도 예외는 아니다. 따라서 이를 올바르게 향유할 수 있게끔 이끌어 가는 정책과 제도가 필요하다. 더욱 우려스러운 점은 국가에서 운영하는 국 ․ 공립 박물관의 경우 대다수가 종합박물관이란 점이다.
21 세기(世紀) 우리박물관이 나아갈 방향
순서
Download : 21세기 우리박물관이 나아갈 방향.hwp( 71 )
2. 추진定義(정이)
다. 따라서 본 計劃書에는 기존의 박물관 ․ 미술관의 특징을 탈피하여 일반 대중에게 쉽고, 흥미롭게 다가갈 수 있는 방안, 특히 국 ․ 공립의 폐쇄적이고 보수적인 박물관정책이 아닌 지역중심, 산업중심, 더 나아가 상업적인 요소까지도 접근하여 박물관 스스로가 자립하고 발전할 수 있는 방안 및 계획 등에 관련되어 다루고자 한다. 따라서 이는 관람객 감소로 이어지게 된다
삼국시대의 옹관, 고려시대의 청자, 조선시대의 산수화, 현대의 다양한 문화 ․ 예술품까지 인류가 생활하면서 사용한 모든 사물은 현재 ․ 未來를 살 우리 인류의 자산이다. 가령 국립중앙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는 유물과 경주박물관, 또는 그 외 국 ․ 공립박물관의 유물과 큰 차이점은 찾아보기 힘들며 전시방법이나 운영시스템 등 역시 크게 차이점이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