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양] 수학 - 합접명제, 이접명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15 23:15
본문
Download : [교양] 수학 - 합접명제, 이접명제 .hwp
② p가 참이고 q는 거짓이다.
합접명제 p∧q에서는 다음과 같은 네 가지의 가능성이 있다
① p가 참이고 q도 참이다.
를 나타낸다면 p 또는 q“의 문장은
비가 내리거나 또는 바람이 분다.
q가 바람이 분다. , [교양] 수학 - 합접명제, 이접명제 인문사회레포트 , 교양 수학 합접명제 이접명제
![[교양]%20수학%20-%20합접명제,%20이접명제%20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5%90%EC%96%91%5D%20%EC%88%98%ED%95%99%20-%20%ED%95%A9%EC%A0%91%EB%AA%85%EC%A0%9C,%20%EC%9D%B4%EC%A0%91%EB%AA%85%EC%A0%9C%20_hwp_01.gif)
![[교양]%20수학%20-%20합접명제,%20이접명제%20_hwp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5%90%EC%96%91%5D%20%EC%88%98%ED%95%99%20-%20%ED%95%A9%EC%A0%91%EB%AA%85%EC%A0%9C,%20%EC%9D%B4%EC%A0%91%EB%AA%85%EC%A0%9C%20_hwp_02.gif)
![[교양]%20수학%20-%20합접명제,%20이접명제%20_hwp_03.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5%90%EC%96%91%5D%20%EC%88%98%ED%95%99%20-%20%ED%95%A9%EC%A0%91%EB%AA%85%EC%A0%9C,%20%EC%9D%B4%EC%A0%91%EB%AA%85%EC%A0%9C%20_hwp_03.gif)
![[교양]%20수학%20-%20합접명제,%20이접명제%20_hwp_04.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5%90%EC%96%91%5D%20%EC%88%98%ED%95%99%20-%20%ED%95%A9%EC%A0%91%EB%AA%85%EC%A0%9C,%20%EC%9D%B4%EC%A0%91%EB%AA%85%EC%A0%9C%20_hwp_04.gif)
![[교양]%20수학%20-%20합접명제,%20이접명제%20_hwp_05.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5%90%EC%96%91%5D%20%EC%88%98%ED%95%99%20-%20%ED%95%A9%EC%A0%91%EB%AA%85%EC%A0%9C,%20%EC%9D%B4%EC%A0%91%EB%AA%85%EC%A0%9C%20_hwp_05.gif)
![[교양]%20수학%20-%20합접명제,%20이접명제%20_hwp_06.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5%90%EC%96%91%5D%20%EC%88%98%ED%95%99%20-%20%ED%95%A9%EC%A0%91%EB%AA%85%EC%A0%9C,%20%EC%9D%B4%EC%A0%91%EB%AA%85%EC%A0%9C%20_hwp_06.gif)
다.
③ p가 거짓이고 q는 참이다.
가 될 것이다.
q : 바람이 분다.
<표1-1> 합접명제의 진리표
p
q
p∧q
① T
② T
③ F
④ F
T
F
T
F
T
F
F
F
Ⅱ. 이접명제
p와 q가 명제일 때, “p 또는 q이다”란 문장을 생각하자.
이를테면,
p가 비가 내린다.
④ p가 거짓이고 q도 거짓이다. 일상생활의 언어에서 ‘또는’이나 ‘이거나’를 사용할 때 그 뜻이 약간 애매한 경우가 있다 이를테면 “그 사람을 돌쇠 또는 갑돌이라 …(투비컨티뉴드 )
[교양] 수학 - 합접명제, 이접명제
Download : [교양] 수학 - 합접명제, 이접명제 .hwp( 45 )
교양,수학,합접명제,이접명제,인문사회,레포트
[교양] 수학 - 합접명제, 이접명제 - preview를 참고 바랍니다.
라고 할 때, “p이고 q이다”의 문장은
“비가 내리며 바람이 분다”
로 된다
“p이고 q이다”를 기호로서는 p∧q로 나타내고, p와 q의 합접명제라 한다.
[교양] 수학 - 합접명제, 이접명제 - 미리보기를 참고 바랍니다.순서
설명
레포트/인문사회
=========================================================
== 목 차 ==
Ⅰ. 합접명제?
Ⅱ. 이접명제?
Ⅲ. 조건문?
Ⅳ. average(평균)과 표준 편차?
※ 참고한 문헌 ?
=========================================================
Ⅰ. 합접명제
p와 q가 명제일 때 “p이고 q이다”란 문장을 생각하자. 이를테면
p : 비가 내린다.
‘이고’가 가지는 보통의 뜻대로 위의 각 경의 참과 거짓을 판정하면, ①만 참이고 나머지는 모두 거짓이 된다
(정이 1) 합접명제 p∧q의 진리값이 다음의 표와 같이 정이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