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IS 도입시 중앙집중과 분산처리에 따른 하드웨어 차이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16 03:27
본문
Download : EIS 도입시 중앙집중과 분산처리에 따른 하드웨어 차이.hwp
따라서 호스트의 속도가 이를 지원하지 못할 경우 가장 자주 쓰이는 정보나 처리결과, formula(공식) 등이 단말기로 쓰이고 있는 PC로 이관됨으로써 분산처리가 처음 된다된다.
만약 도입하려는 EIS가 중앙집중식의 처리방식을 택한다면 필요한 자료(資料)만을 각 단말기로 보내주기 때문에 대용량의 PC를 사용할 필요가 없어진다.
분산처리의 경우에는 각 단말기의 저장능력과 처리능력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된다. EIS의 도입 목적이 바로 즉각적인 정보의 제공에 있기 때문에 느린 EIS란 상상할 수도 없는 일이다.
4. 스마트 터미널, 더미 터미널(smart vs, dumb terminal)
스마트 터미널(smart terminal)이란 주로 분산처리 시스팀에서 쓰이는 것으로서 정보의 저장과 처리를 할 수 …(생략(省略))
순서
EIS 도입시 중앙집중과 분산처리에 따른 하드웨어 차이
Download : EIS 도입시 중앙집중과 분산처리에 따른 하드웨어 차이.hwp( 63 )


레포트/법학행정
EIS 도입시 중앙집중과 분산처리에 따른 하드웨어 차이 , EIS 도입시 중앙집중과 분산처리에 따른 하드웨어 차이법학행정레포트 , EIS 도입시 중앙집중과 분산처리 따른 하드웨어 차이
EIS,도입시,중앙집중과,분산처리,따른,하드웨어,차이,법학행정,레포트
EIS 도입시 중앙집중과 분산처리에 따른 하드웨어 차이
다.설명
EIS 도입시 중앙집중과 분산처리에 따른 하드웨어 차이
1. 들어가며
LAN으로 연결된 PC이건 아니면 호스트와 on-line 으로 연결된 단말기이건 모든 자료(資料)의 저장과 처리에 있어서 호스트와 각 PC 또는 단말기에서 처리하여야 할 업무의비율이 결정되어야 한다. 보통의 경우 5초에서 10초내에 호스트로부터의 응답이 요구된다된다. 시스팀과 취급하는 자료(資料)의 성격에 따라 그 비율은 다양하게 나타난다. 이러한 비율이 결정되면 이에 따라 하드웨어도 결정된다된다. 이는 그만큼의 비용의 절감을 뜻한다. 분산의 정도에 따라 단순한 기능만이 요구될 수도 있고, 고도의 처리능력과 거대한 기억용량을 요구할 수도 있다 따라서 각각의 경우에 적합한 장비를 선택하여야 한다.
2. 중앙집중
중앙집중방식은 자료(資料)의 저장과 처리가 모두 호스트에서 이루어지는 방식으로 모든 EIS사용자가 같은 자료(資料)를 같은 시간에 접할 수 있으므로 신뢰성이 높다. 만약 PC가 아니라 단순한 단말기를 사용한다면 비용의 절감폭은 더욱 커질 것이고 그만큼 호스트의 성능향상을 꾀할 수 있으며 또한 단말기의 수를 늘여서 사용자의 폭을 넓힐 수도 있다
3. 분산처리
중앙집중 처리방식의 경우 가장 큰 문제가 되는 것은 속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