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실 중격 결손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10 00:16
본문
Download : 심실 중격 결손.hwp
분류
기준 : 막성 중격과 반월판과의 관계에 따라
① 막양부 결손(perimembranous VSD) : 가장 흔한 형태(약 70%)로 심의 전도 조식이 결손의 후하방에 연해 있다 결손 부근에 있는 삼첨판, 막상 중격에 의해 중격류가 형성되어 결손이 작아지거나 완전히 자연 폐쇄가 되는 경우가 많다.
심실 중격 결손에 대한 자료입니다.
혈역학의 alteration(변화)
혈액은 좌심실의 높은 압력으로 결손 부위를 통해 우심실로 흐르게 되고 결국 폐혈관의 저항이 증가한다. 잡음은 강도가 4/6이상의 조잡한 범수축기 잡음이며 결손 부위에 따라 잘 들리는 위치가 다르다. 막양부 결손은 좌흉골연 하부에서, 근성부 결손은 결손이 있는 곳에서(대개 심첨부와 좌흉골연의 중간부분), 대혈관 판하 결손은 좌흉골연에 제 2늑간에서 가장 강하게 들린다. 수축기의 떨림은 강한 심잡음과 관련이 있다
중등도의 결손을 가진 경우에…(To be continued )
순서
심실 중격 결손
심실 중격 결손에 대한 자료(資料)입니다.(서양 - 약 25%, 동양 - 5~10%) 최근 심에코와 도플러의 발전으로 아주 작은 근성부 결손을 발견할 수 있게 되었고 이러한 작은 결손의 대부분은 1세 이내에 자연 폐쇄된다
③ 대혈관 판하 결손(subarterial VSD) : 대동맥판 - 폐동맥판 직접 연결이 결손연을 형성하는 형태로 동양인에 많다.
임상증상
임상증상은 폐혈류량 증가 정도에 좌우되는데 이는 결손의 크기와 폐혈관 저항에 따라 결정된다 결손이 작은 경우에는 심장에 미치는 influence(영향)이 거의 없으므로 증상이 없고 우연히 심잡음이 청취되어 진단되는 경우가 많다.
② 근성부 결손(muscular VSD) : 결손이 완전히 근성 중격 내에 있는 경우로, 동양인에서 비교적 그 빈도가 낮다.
보통 전 수축기 동안의 시끄럽고, 거친 잡음이 좌측 흉골 하부 가장자리에서 들리며, 이것은 전흉부로 퍼진다. 심잡음이 막양부 결손 때와는 달리 제 2 늑간에서 가자 강하게 들린다. (서양 - 약 5%, 동양 - 25~30%) 자연 폐쇄되는 경우가 드물고, 대동맥 판막 탈출로 대동맥 폐쇄부전이 오기 쉽다.심실중격결손 , 심실 중격 결손기타레포트 ,
심실중격결손
레포트/기타
,기타,레포트
Download : 심실 중격 결손.hwp( 79 )



설명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