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진주사」의 종장이 지니는 의미와 역할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08 12:18
본문
Download : 「장진주사」의 종장이 지니는 의미와 역할.hwp
Ⅰ. 서 론
송강 정철(1536~1593)은 중종에서 선조에 이르는 조선 중기의 문신·시인으로서 윤선도, 박인로와 함께 ‘조선시대 3대 가인’으로 불리는 인물이다.
고전시가에 대한 개인적인 소양이 부족한 탓인지 다른 사람의 작품들과 비교해보았을 때 표현상에서 별다른 차이점을 찾지는 못했지만 그래도 그 중에서 눈에 띄면서도 여운을 남긴 것은 바로 「장진주사」이다. ‘권주가’로 불리는 이 시조는 국문학사상 최초의 사설시조라고 하는데, 형식은 차치하더라도 시조의 전체적인 심상이나 이미지는 다른 시조들과 분명 다른 부분이 있따 전부 그런 것은 아니지만 많은 시조들이 학문적 사상이나 강호가도적, 교훈적인 내용을 담고 있어서 현대적 정서와 어울리지 못하고 그 시대의 울타리 안에 머물러 있는 반면, 「장진주사」는 문자나 어투만 현대와 조금 다를 뿐 내용이나 정서적인 면에서는 시대의 울타리를 벗어나고 있따 특히 중장에서 사후세계를 묘사하는 부분은 현대적 감각으로 보았을 때도 감탄스러운 부분이라 할 수 있따 그 부분은 초장의 향락적인 분위기와 대비되면서 허무감을 증폭시키기도…(drop)
,인문사회,레포트
순서
「장진주사」의 종장이 지니는 의미와 역할정철의장진주사 , 「장진주사」의 종장이 지니는 의미와 역할인문사회레포트 ,
레포트/인문사회
정철의장진주사
Download : 「장진주사」의 종장이 지니는 의미와 역할.hwp( 34 )
「장진주사」의 종장이 지니는 의미와 역할
「장진주사」의 종장이 지니는 의미와 역할






설명
다. 그의 작품은 「관동별곡」, 「사미인곡」, 「속미인곡」, 「성산별곡」 4편의 가사와 시조 107수가 전한다고 하는데, 가사에서는 정철이 대표적 인물로 꼽히지만 시조에서는 윤선도가 대표적 인물로 꼽힌다. 수준을 논하는 정확한 기준이 무엇인지는 모르겠으나 정철에 관한 여러 논문에서는 대체로 표현의 풍부함을 꼽고 있따 선택할 수 있는 주제나 어휘력의 범위가 현대에 비해 좁은 고전에서, 게다가 형식이 비교적 자유로운 가사에 비해 엄격한 정형성을 띠는 시조에서 표현의 풍부함이라는 것이 얼마만큼이나 차이를 가지고 드러나는지는 모르겠지만, 어쨌든 정철의 시조가 윤선도 만큼은 아니더라도 그 작품성이 여러 논문에서 칭송받고 있는 만큼 표현에 주목해서 작품들을 살펴보았다. 허나 그렇다고 해서 정철의 시조가 그 수준이 낮다든가 하는 것은 아니고 가사 뿐 아니라 시조에서도 정철은 매우 높은 수준을 보여준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