칸트의 비판철학과 인간이란 무엇인가에 관하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20 04:37
본문
Download : 칸트의 비판철학과 인간이란 무엇인가에 관하여.hwp
연필의 존재와 운동에 관한 이러한 인식은 어떻게 가능한 것인가.
우선 우리는 감각(시각)에 의해 지금 내 앞에 하나의 연필이 있음을 본다. 이 틀을 칸트는 `범주` 라고 했는데, 범주에는 양(단일/다수/전체), 질(실재/부정/제한), 관계(요인-결과 /실체-속성/상호작용), 양태(가능/현실/필연) 등이 있따 이 선험적 인식틀 (범주)에 의해서 우리는 `힘을 주면 연필은…(생략(省略))
순서
칸트의 비판철학과 인간이란 무엇인가에 관하여
칸트의비판철학과인간이란무엇인가에관하여




,인문사회,레포트
다.
레포트/인문사회
본 자료는 칸트의 비판철학과 인간이란 무엇인가에 관하여 정리한 리포트입니다. 그런데 이 연필은 특정시간과 공간 하에 있다고 여겨지는데, 칸트에 따르면 이 시간과 공간은 (우리의 의식 밖에 실재하는 것이 아니라) 그 연필의 현상적 실재를 가능하게 해주는 조건으로서, 우리의 의식 안에 있는 것이다.설명
본 자료(data)는 칸트의 비판철학과 인간이란 무엇인가에 관하여 정리(整理) 한 리포트입니다.칸트의비판철학과인간이란무엇인가에관하여 , 칸트의 비판철학과 인간이란 무엇인가에 관하여인문사회레포트 ,
Download : 칸트의 비판철학과 인간이란 무엇인가에 관하여.hwp( 74 )
1. 나는 무엇을 알 수 있는가?: 순수이성비판
2. 나는 무엇을 행해야만 하는가?: 실천이성비판
3. 나는 무엇을 원해도 좋은가?: 판단력 비판
1. 나는 무엇을 알 수 있는가?: 순수이성비판
순수이성비판에서 다루어지고 있는 주된 주제는 인간의 앎(인식)의 가능 근거와 그 한계 및 범위 등이다. `감각`에 의한 경험資料들과 이 잡다한 資料들을 잘 분별해주는 `오성`의 종합에 의해 우리의 인식은 이루어 지는데, 이때 감각을 가능하게 하는 `순수형식`이 `시공간`이며 오성(분별력)을 가능케 하는 순수형식이 `범주`라는 것이다. 칸트에 따르면, 인식이란 인식의 재료(감각資料)와 형식(시공간/범주)의 종합에 의해 이루어진다. 즉, 그에 따르면 대상(사물)의 감각적 인식이 가능한 것은 우리의 의식 내에 시간과 공간이라는 (경험으로부터 독립된, 그래서 순수한) 틀이 있기 때문이다 시공간이라는 우리 의식 내부의 틀로써 파악될 수 없는 것(신, 영혼 등)은 따라서 인식할 수 없는 것이 된다(`감각의 순수형식은 시공간이다`). 다음으로, 우리는 연필에 어떤 힘을 가하면(요인) 그것이 움직인다(결과)는 사실을 (실제 경험을 하지 않고도) 미리 알 수 있는데 이러한 인식은 바로 우리의 의식 내부에 있는 `인과율`이라는 선험적(경험에 앞선) 틀 때문에 가능하다. 이를 예를 들어 설명(explanation)해보자:
1) 지금 내 앞에 하나의 연필이 있고 2) 이 연필에 일정량의 힘을 가할 경우 그것은 움직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