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리공정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06 15:55본문
Download : 분리공정.hwp
체질에 쓰이는 체의 재료에는 여러 가지가 있따 철사를 직조한 망체, 각종 섬유직포(요즘 시판되는 부직포는 예외인데, 여과막으로 쓰인다), 금속막대기체, 원형 또는 타원형, 사각형의 구멍이 있는 금속판체가 쓰인다.






레포트/공학기술
공업적 체질에서는 분쇄물과 같은 고체를 체표면에 떨어뜨려서 입자가 체표면에 머무는 동안 체구멍을 통과하는 미분(fine), 또는 통과분(undersize)과 체구멍을 통과하지 못하고 체에 잔류하는 조분(coarse), 잔류분(oversize), 또는 꼬리분(tail)으로 분리할 수 있따 이런 경우는 체를 1개만 사용한 경우이므로 입도범위가 알려지지 않는 단순한 분리물(unsized fraction)을 얻는다.
즉, 통과분의 최소입도나 잔류분의 최대입도는 원료의 입도분포가 알려져 있을 때만 알 수 있따 그러나 체구멍 크기가 각가 다른 몇 개의 체를 크기 순서대로 설치할 때, 각 체를 통과한 물질은 크기별로 구분된 몫을 얻을 수가 있고 각 몫의 최대입도나 최저입도는 체구멍 크기에 의하여 결정된다
체질은 보통 건식방법으로 수행되지만, 입도가 20㎛ 이하가 되면 습식 체질에 의하여 분리가 가능하다.
작은 입자가 건식으로 체질되지 않는 이유에는 여러 가지가 있따 미세입자는 표면적이 크므로 공기 중에서 습기를 조금만 흡수 또는 흡착하더라도 입자끼리 서로 뭉쳐서 큰 입자를 형성하는 경우도 있고, 작은 입자가 큰 입자의 표면에 쉽게 부착하여 떨어지지 않기 때문일것이다 또 입자가 체구멍을 막아버리는 경우도 있따
습식이거나 건식이거나 모든 체질에서, 반드시 원하는 입도가 제대로 분리된다고는 할 수 없다. 막대모양의 입자가 더 작은 체구멍을 통과할 확률도 있고 체구멍이 균일하지 못한 경우도 많기 때문일것이다 따라서 체질에 의한 분리성능은 입자의 형상이나 체구멍의 모양에 따라서 크게 달라진다. 이때는 마치 체망을 통한 여과현상과 꼭 같아진다.
다.
철망체나 섬유직포는 제직방법에 따라서 여러 가지 구조가 있을 수 있따 금속체의 재료로는 강철, 스텐레스강,…(투비컨티뉴드 )
분리공정
분리공정
설명
Download : 분리공정.hwp( 99 )
체질은 입도의 차이만을 이용하여 입자를 분리한는 방법이다. 분리공정 , 분리공정공학기술레포트 ,
순서
,공학기술,레포트
체질은 입도의 차이만을 이용하여 입자를 분리한는 방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