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17세기백자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12 17:04본문
Download : 1517세기백자.pptx
_SLIDE_1_
_SLIDE_2_
_SLIDE_3_
청화백자(15~16세기)
철화백자(17세기)
청화백자와 철화백자의 문양 비교
歷史적 고찰
_SLIDE_4_
청화백자란?
백토로 기형(器形)을 만들고 그 위에 회청(回靑) 또는 토청(土靑)이라 불리는 코발트 안료로 무늬를 그린 다음 그 위에 순백의 유약을 씌워서 맑고 고운 푸른색의 무늬가 생기게 만든 자기
코발트는 당시 한국에서는 채취하지 못해 아라비아 상인들을 통하여 중국(China)에서 수입하였다.
_SLIDE_5_
출토지
청화백자는 경기 광주군을 중심으로 번조되었는데, 이 일대의 수많은 관요(官窯) 터가 그것을 말해준다.
_SLIDE_7_
유입과 발전
15세기 후반에서 16세기 전반 무렵에는 이미 중국(China)양식에서 탈피하여 조선적 특색이 양식적으로 정착된다 그러나 16세기 중반경이 되면서 문양이 흐트러지고 도식화 되면서 전체적인 질과 격이 떨어지는 양식적 變化(변화)가 일어나게 된다 따라서 조선전기 청화백자는 15세기 후반에서 16세기 전반을 중심으로 진정한 전성기를 이룩하였던 것으로 …(생략(省略))
Download : 1517세기백자.pptx( 67 )
순서
세기백자,기타,레포트
레포트/기타
1517세기백자
설명
1517세기백자 , 1517세기백자기타레포트 , 세기백자
1517세기백자






다.
_SLIDE_6_
유입과 발전
중국(China)의 청화백자가 한국에 처음 들어온 것은 1428년(세종10년) 명나라에서 전해진 것
한국에서 청화백자를 번조하기 처음 한 것은 1457년(세조 3년) 중국(China)에서 회청이 수입된 뒤부터이며, <세조실록>에 따르면 1465년(세조 11년)에 최초의 제품이 생산되었다는 기록이 있따
1469년 <경국대전>에 따르면 사옹원 소속 사기장 380명이 사기를 제작하였고 명대 청화를 모방하였다 한다. 광주 관요는 시간이 흐름에 따라 거듭 발달하였다.
1469년(예종 1년)에는 전남 강진 산(産) 토청으로 청화백자가 생산되었고, 그 후에는 중국(China)에서 수입한 회청이 함께 사용되었다. 코발트 안료는 회청 또는 회회청(回回靑)이라 불렀으며, 이것으로 만든 자기를 중국(China)에서는 유리청(釉裏靑) 또는 청화백자(靑花白瓷)라고 하고, 한국에서는 화사기(畵沙器) 또는 청화사기라고 불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