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산별곡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25 18:28
본문
Download : 청산별곡.hwp
반면에 서재극 ,박노준은 ‘강 하류(평원지대, 물아래 마을, 물 건너 마을)’,로 보았고, 정병욱은 더 나아가 세속의 세계라고 보았다. 그 외에 서수생은 ‘가던 새’를 ‘믈 아래’와 결부시켜 ‘공중으로 날아가던 새의 그림자가 물에 비친 것으로 보았고, 김재용은 ’새‘를 자유를 갈망하는 시적 자아의 객관적 상관물로 보았다. 한편 서수생…(drop)






청산별곡
,기타,레포트
청산별곡에 대한 글입니다.
③ 본다
과거 의문형 : 보았느냐 - 양주동
현재 의문형 : 보느냐 - 박병채
현재 평서형 : 본다 - 서재극
④ 잉무든
잇무든의 音轉 : 양주동, 김형규, 박병채
무던에 접두사 잉이 붙은 것 - 양주동, 김형규
‘잉’은 잉어, ‘무든’은 물던 - 서수생
⑤ 장글란 :잠ㄱ(고어 잠개) + ㄹ란(목적형 지정사)
‘잠개’는 병기 내지는 연장(도구) - 김형규, 양주동
‘잠개’는 쟁기-박병채
‘잠개’는 낚시- 서수생
이끼 묻는 여인의 장도 : 김완진
파란 새가 장구치듯 날개를 침, 잇무든은 푸른 새의 빛깔 ‘장글’은 장고 - 권재선
양주동, 박병채, 김형규은 ‘이끼묻은 병기’라고 보았고, 정병욱은 ‘녹슨 병기’ 라고 보았다.
② 믈아래
물 아래 - 양주동, 박병채, 전규태, 서수생
평원지대 - 정병욱
물 건너 마을 - 서재극
강하류- 박노준
양주동, 서수생, 전규태, 박병채는 ‘물 밑에’에는 수면 아래의 세계로 보았다.청산별곡 , 청산별곡기타레포트 ,
순서
청산별곡
레포트/기타
Download : 청산별곡.hwp( 16 )
청산별곡에 대한 글입니다.
설명
다. 신동욱은 ‘녹슨 농기구’로 해석하여 평민적 의식과 관련을 짓고 있고, 전규태는 ‘이끼묻은 혹은 녹슨 쟁기’라고 보았다. 그러나 신동욱, 서재극은 ‘가던 새’를 갈던(耕) 사래로 풀이하였다.
김형규, 박병채는 날아가던 새의 의미로 해석했고 전규태 역시 같은 견해를 표했으나 막연하게 가는 것(行)이라기 보다는 날아가는(飛行)으로 풀이해야 한다고 보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