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 생활 구석구석에 숨은 전통 과학을 읽고쓰기나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25 12:31
본문
Download : 옛 생활 구석구석에 숨은 전통 과학을 읽고나서(2).hwp
Download : 옛 생활 구석구석에 숨은 전통 과학을 읽고나서(2).hwp( 70 )
레포트/감상서평
옛 생활 구석구석에 숨은 전통 과학을 읽고나서 , 옛 생활 구석구석에 숨은 전통 과학을 읽고나서감상서평레포트 , 옛 생활 구석구석 숨은 전통 과학 읽고나서
옛 생활 구석구석에 숨은 전통 과학을 읽고쓰기나서
옛 생활 구석구석에 숨은 전통 과학을 읽은후나서
창덕궁에서 가장 튼튼한 것이 뭔지 아니 바로 금천교야~ 금천교가 아치모양인 것은 알지 난 금천교와 비슷한 모양으로 만든 종이컵이 40kg도 넘는 친구의 무게를 견뎌내는 test(실험) 을 해본 적이 있어. 단순히 스티로폼 조각을 아주 소량의 글루건으로 붙여 금천교 모양으로 만들었을 뿐인데 말이야. 또, 창덕궁 후원의 서재인 선향재에 있는 차양이 마루의 온도에 얼마나 큰 influence을 주는지도 test(실험) 해 본 적이 있어. 광원이 가까이 있었는데도 차양이 있는 곳과 없는 곳의 온도가 4도나 차이가 났어. 우리 선조들은 차양을 이용해 무더운 여름을 시원하게 보내고 책들을 직사광선으로부터 구해줬던 거야.
내가 그 많은 책들 중에서 단번에 이 책을 선택한 이유가 바로 이 test(실험) 들 때문이었어. 난 과학을 좋아해서 꾸준히 과학test(실험) 과 탐구를 하고 발명가의 꿈도 가지고 있어. 과학을 하다보면 아리스토텔레스도 만나고 갈릴레이도 만나지만 우리 선조들만큼 똑똑하고 현명하지는 못한 것 같았어. 연경당 test(실험) 을 하고 난 후 좀 더 조사해 보니 연경당을 책이 상하는 일이 없도록 하려고 일부러 서향에 배치했고 차양막을 구리판으로 해서 태양열을 95% 이상 반사시켰다고 하니 참 대단하지 않니 내가 알고 있는 것도 있지만 다른 것도 더 자세히 알고 싶어서 이 책을 선택했어. 책을 읽은후 보니 역시 우리 선조들의 지혜가 대단하다는 생각뿐이야.
이 책에선 우리 최고의 선조이자 실학자이고 과학자인 정약용을 introduction했어. 영차! 영차! 헉! 옛날에는 성을 지을 때 사람들이 직접 돌을 캐고 모두 직접 날라 짓느라 성 하나를 쌓는데 보통 5년이나 걸렸었대. 그런데, 수원화성을 지을 때는 과학자이신 정약용이 발명한 녹로와 거중기 덕분에 10년을 예상했던 공사를 2년 만에 완공할 수 있었대. 거중기와 녹로는 도르래를 이용해서 무거운 물건을 들어 올리는 기구인데 성을 쌓거나 큰 집을 지을 때 많이 사용했어. 집채만한 바윗덩어리를 거중기와 녹로에 묶어 수레에 싣는 상상을 하니 정말 ‘…(생략(省略))
설명
순서
옛 생활 구석구석에 숨은 전통 과학을 읽고쓰기나서
옛,생활,구석구석,숨은,전통,과학,읽고나서,감상서평,레포트
_hwp_01.gif)
_hwp_02.gif)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