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파식적- 다시 읽을 수 있는 축복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16 13:06
본문
Download : 만파식적- 다시 읽을 수 있는 축복.hwp
Download : 만파식적- 다시 읽을 수 있는 축복.hwp( 68 )
순서
만파식적
1. 만파식적 원문 ------------------------ 2
2. 원문 해설 ---------------------------- 3
3. 동해구 유적 -------------------------- 4
4. 학자들의 만파식적 해석 경향 ----------- 6
5. 만파식적의 歷史(역사)적 배경 ---------------- 7
6. 만파식적 소재의 상징성 ---------------- 7
7. 문학적 가치 ------------------------------ 8
8. 현대 우리에게 주는 만파식적의 교훈 ----- 9
1. 萬波息笛(만파식적) 원문
第三十一代(제31대) 神文大王(신문대왕)의 諱(휘)는 政明(정명)이요 金氏(김씨)니 開耀元年辛巳(개요원년신사) 七月七日(7월7일)에 卽位(즉위)하였다.
레포트/인문사회
만파식적 설화의 원문과 해설,배경,교훈,문학적 가치에 관한 내용입니다. 생각컨대 遺詔(유조)로 藏骨(장골)케한 곳을 大王岩(대왕암)이라하고 절은 感恩寺(감은사)라 하였으며, 그 후에 龍(용)의 現形(현형)을 본곳은利見臺(이견대)라 하였다】. 明年壬午(명년임오) 五月初一日(5월초1일)【一本(1본)에는 天湲元年(천원원년)이라하나 잘못이다】에 海官波珍?(해관파진찬) 朴夙淸(박숙청)이 아뢰되 東海中(동해중)에 小山(소산)이 떠서 感恩寺(감은사)로 向(향)하여 오는데 물결을 따라 往來(왕래)한다 하였다.
王(왕)이 기뻐하여 그달 七日(7일)에 利見臺(이견대)에 行幸(행행)하여 浮山(부산)을 바라보고 사람을 보내어 살펴보니 山勢(산세)가 龜頭(귀두)와 같고 위에는 한줄기 대나무가 있는데, 낮에는 둘이 되고 밤에는 합하여 하나가 되었다【혹은 말하되 山(산)도 대와 같이 晝夜(주야)로…(skip)
,인문사회,레포트
만파식적- 다시 읽을 수 있는 축복






만파식적 설화의 원문과 해설,배경,교훈,문학적 가치에 관한 내용입니다. 聖考(父)文武大王〔성고(부)문무대왕〕을 위하여 東海邊(동해변)에 感恩寺(감은사)를 세웠다【寺中記(사중기)에 文武王(문무왕)이 倭兵(왜병)을 진압하려 하여 이절을 짓다가 마치지 못하고 돌아가 海龍(해룡)이 되고, 그 아들 神文(신문)이卽位(즉위)하여 開耀二年(개요2년)에 畢役(필역)하였는데, 金堂階下(금당계하)를 파헤쳐 東向(동향)한 한구멍을 내었으니 그것은 龍(용)이 들어와 서리게 하기위한 것이다. 王(왕)이 이상히 여겨 日官(일관) 金春質(김춘질)【혹은 春日(춘일)이라고 쓴다】을 시켜 占(점)을 치니 가로되 聖考(성고)가 지금 海龍(해룡)이 되시어 三韓(삼한)을 鎭護(진호)하시고 또 金公(김공) 庾信(유신)은 三十三天(삼십삼천)의 一子(1자)로 지금 下降(하강)하여 大臣(대신)이 되었다. 두 聖人(성인)이 德(덕)을 같이하여 (二聖:2성이) 守城(수성)의 보배를 내주시려 하니, 만일 陛下(폐하)가 海邊(해변)에 가시면 반드시 無價(무가)의 大寶(대보)를 얻으시리라 하였다.만파식적 , 만파식적- 다시 읽을 수 있는 축복인문사회레포트 ,
설명
다.